네이버,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술社 '이노비즈' 투자

728억 규모..."자율주행차 '인지' 분야 기술 강화"

인터넷입력 :2017/09/08 09:26

네이버가 자율주행 핵심 기술 기업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에 공동 투자를 단행했다.

네이버(대표 한성숙)는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인 '라이다'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이스라엘 기업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에 글로벌 전장기업과 함께 6천500만달러(약 728억원)를 공동 투자했다고 7일 밝혔다. 이후 네이버는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와 자율주행 기술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라이다는 자율주행차에서 눈 역할을 한다. 전파를 사용하는 레이더와 달리 라이다는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를 활용해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센서다. 이를 통해 획득한 3D 데이터로 센서 주변의 수십미터 이상의 반경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주변의 장애물과 앞차의 위치, 거리 등을 제공할 수 있어, 자율주행의 핵심 센서로 손꼽힌다.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가 개발중인 이노비즈원.

2016년 이스라엘 국방부 소속의 기술 개발 조직 출신들이 설립한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근 라이다 시장에 뛰어든 기업이다. 자체 특허를 활용해 빛과 기상 조건의 변화와 관계 없이 차량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더 나아가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활용,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는완성차 제조사에 탑재되는 이노비즈프로 라이다를 오는 2018년 1분기 내 출시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3,4단계에 대응하는 이노비즈원은 오는 2019년 출시 목표로 기술 개발 중이다.

라이다 업계에서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가 더욱 주목받는 것은, 기술 개발을 통해 주변 환경을 인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초기 8만 달러(약 9천600만원)에 달하던 라이다 가격을 개당 100달러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이노비즈테크놀로지스는 이번 6천500만 달러 투자 유치와 함께, 자율주행 기술 협력을 위해 네이버를 비롯하여 글로벌 전장기업 ‘델파이 오토모티브’, ‘마그나 인터내셔널’ 등과 전략적 파트너를 맺었다.

관련기사

네이버는 이번 투자가 현재 연구 중인 자율주행차 '인지' 분야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네이버가 이미 인수한 AI 연구소 네이버랩스유럽(구,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과의 협업도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 CTO 겸 네이버랩스 송창현 대표는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IT전자 업계는 업체 간 합종연횡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네이버는 딥러닝 기반의 기술을 실제 차량에 접목하는 다양한 연구를 하는 동시에 자율주행 영역의 기술 기업들과 전략적 투자와 기술협력을 더욱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