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9개월 만에…알뜰폰 700만 ‘돌파’

3월말 기준 701만7천명…수익개선은 해결 과제

방송/통신입력 :2017/04/18 12:04    수정: 2017/04/18 14:01

알뜰폰 가입자가 2011년 7월 제도 도입 이후 5년9개월 만에 700만명을 넘어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월말 기준으로 알뜰폰(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입자 수가 701만7천명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와 통신시장이 유사했던 프랑스와 비교할 때 상당히 빠른 속도로 성장한 수치다. 특히,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포화상태란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활성화 정책이 가입자 증대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미래부는 알뜰폰 사업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도매제공 의무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 2011년 이후 음성 도매대가는 연평균 16.9%, 데이터 도매대가는 연평균 92.3%를 인하하면서 알뜰폰 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왔다.

2013년부터는 알뜰폰 사업자들의 재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파사용료 감면제도를 도입해 그동안 사업자들이 약 800여억원을 감면혜택을 받기도 했다.

특히, 미래부는 기존 이통사와 비교해 부족한 유통망 확충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우체국에서 10개 중소 알뜰폰 사업자 상품의 수탁판매를 실시하고 있다. 또 올해는 온라인 판매사이트(www.epost.go.kr)를 개설해 알뜰폰 허브사이트(www.알뜰폰.kr)와 더불어 온라인 유통망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들도 최근 다양한 요금제와 부가서비스를 출시하면서 가입자 증대에 나서고 있다.

CJ헬로비전 등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동통신 3사 대비 30% 이상 저렴한 유심요금제를 출시했으며,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요금을 돌려주는 혁신적인 요금제를 출시키도 했다.

또한, 이지모바일, 큰사람 등은 신용카드사와 제휴해 매월 통신요금을 할인해주고, 멤버십이나 단말 파손보험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 중이거나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가입자 수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고 알뜰폰 사업자간의 경쟁심화로 아직까지 알뜰폰 사업 전체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여전히 해결돼야 할 과제로 꼽힌다.

미래부 관계자는 “알뜰폰 사업자들의 노력으로 가입자 700만명을 돌파했고 통신비 부담 경감에 기여한 바가 크지만 성장속도는 둔화되고 있다”며 “알뜰폰 사업이 내실 있게 성장하면서 이동통신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