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민관 합동 '자동차 산업발전 위원회' 출범 추진

주형환 장관, 현대차 울산공장 찾아 미래車 생산현황 점검

카테크입력 :2016/12/21 13:00

정기수 기자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오후 울산 현대자동차 공장과 수출 선적항을 방문해 관계자의 노고를 격려하고, 자동차 수출 동향과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생산 현장을 점검했다.

현대차 울산공장은 지난해 기준 연간 약 153만대 생산, 105만대를 수출했으며, 현재 약 3만 4천명이 근무 중이다.

주 장관은 이날 "올해 신흥국 시장침체, 파업 여파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상황에서도 지난달 17개월 만에 자동차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됐다"며 수출 회복의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당부했다. 그는 또 "최근 세계 보호무역 움직임, 전기차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 등 급변하는 시장 여건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업계와 정부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기"라고 전제한 뒤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한 빠르고 과감한 투자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공장 구축 ▲선진적 노사관계 정립에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현대차 울산공장 인근 수출 선적장에 수출차량이 수출선에 오르기 전 대기하는 모습(사진=현대차)

주 장관은 "친환경차·자율차로 진화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우리도 빠르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는 친환경차 시장 확대를 위해 보급 인센티브 확대, 충전인프라 확충 등 다각적인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 중이며 올해 전기차 누적 1만대 보급을 달성하는 등 전기·수소차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상향(1천200만원→1천400만원) ▲행정·공공기관 전기차 의무구매 비율 확대(25%→40%)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할인 ▲전기차 전용보험 및 번호판 도입 ▲3년간 전기차 충전 기본요금 면제 및 전력량 요금 50% 할인 등 과감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다.

주 장관은 자율주행차도 카메라 라이더 등 핵심부품 국산화를 위한 대형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사업에는 총사업비 1천455억원이 투입된다.

주 장관은 "정부의 노력과 함께 업계도 R&D(연구개발)와 투자를 확대해 소비자가 사고 싶은 경쟁력 있는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 세계 친환경차 시장을 주도해 나가자"고 주문했다. 아울러 "다양한 부품과 공정관리가 핵심인 자동차 산업은 생산공정의 스마트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확보가 어느 업종보다 중요하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11월부터 그간 파업으로 차질을 빚었던 수출과 생산 만회를 위해 노사가 함께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내년에도 새로운 수출시장 발굴과 기술투자 확대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차는 내년까지 570여개 협력업체의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하는 등 스마트공장 확산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산업부는 세계 보호무역 움직임 등에 따른 통상·규제·노사문제와 같은 다양한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만간 민관 합동 '자동차 산업발전 위원회'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관련기사

주 장관은 이날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와 통상이슈 대응, 규제 개선 등을 위해 산업부 장관과 자동차 업계 대표,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 합동 '자동차 산업발전 위원회' 출범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에는 위원장인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 등 업계 최고경영자(CEO)와 자동차협회장, 연구기관장 등이 참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