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차 상용화 앞당긴다" 글로벌 27개사 연합 출범

현대차·BMW·퀄컴 등 참여...포드·구글 연합과 경쟁

카테크입력 :2016/12/19 13:34    수정: 2016/12/19 13:50

정기수 기자

현대자동차와 독일 BMW, 일본 토요타 등 완성차업체와 미국 반도체회사 퀄컴 등 전 세계 27개 기업이 뭉쳐 자율주행차 실용화를 위한 컨소시엄을 출범한다. 자율주행차 실증 실험과 안전 규칙 제정에 힘을 모아 보급을 앞당긴다는 복안이다.

컨소시엄에는 자동차와 정보통신(IT), 보험, 물류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며 자율주행차 시험 주행은 물론, 안전규격과 운전규칙 등과 관련한 국제 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도 진행한다.

19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글로벌 컨소시엄은 이달 중 출범할 예정이다. 완성차업계에서는 현대차를 비롯해 독일 BMW와 폭스바겐, 일본 토요타와 닛산, 미국 GM(제너럴모터스), 스웨덴 볼보 등 12개사가 참가한다.

별도 자율주행 드라이브 시스템이 탑재된 아이오닉 일렉트릭 완전 자율주행차(사진=현대차)

IT업계에서는 미국 퀄컴과 스웨덴 에릭슨 등이 참여하며 보험사는 미국 리버티뮤추얼그룹과 일본 솜포홀딩스가 합류했다. 차량공유서비스 업체 우버와 미국 물류업체 UPS도 참여하며 스웨덴, 싱가폴은 정부 차원에서 참가할 예정이다.

이 컨소시엄은 다보스포럼을 주관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의 제안에서 비롯됐다. EF는 지난 5월 실무위원회를 꾸려 출범 논의를 진행해 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글로벌 유력 기업들이 참여하는 이 컨소시엄에서 도출되는 자율주행차 관련 안전규격이나 운전규칙이 글로벌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컨소시엄은 또 이달부터 미국 보스턴 도로에서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시험주행을 시작한다. 르노와 매사추세츠공대(MIT)의 벤처기업 누토노미가 시험을 주관한다. 시험주행을 통해 얻게 되는 안전, 교통정체 등과 관련한 자료 공유는 물론 자율주행차가 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과 손해보험 등에 미칠 영향도 논의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컨소시엄은 2개월마다 1번씩 회의를 갖고 매년 1월 스위스 에서 열리는 다보스포럼에서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컨소시엄에서 컨소시엄에서 빠진 점과 미국 포드와 구글(알파벳)이 지난 4월 이미 별도로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협력에 나선 만큼, 자율주행 관련 기술과 국제 기준 선점을 위한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