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다단계 중단?...국감서 발표 예정

황현식 PS본부장이 나와 입장 밝힐 듯

방송/통신입력 :2016/10/10 17:52    수정: 2016/10/11 09:02

LG유플러스가 11일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휴대전화 다단계 영업 중단을 선언할 전망이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따르면 LG유플러스 황현식 PS본부장이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을 대신해 11일 예정된 공정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휴대폰 다단계 판매 정책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날 국감장에서 최근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휴대폰 다단계 판매 중단을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

■“LGU+, 기존 입장과 반대되는 내용 발표”

황 본부장은 공정위 국정감사에서 다단계 판매로 인한 소비자 피해에 대한 입장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특히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를 중단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국감장에서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 영업 중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국감 증인이 권영수 부회장에서 실무자인 황현식 본부장으로 교체된 것도, LG유플러스가 이같은 영업기조를 밝힌 때문으로 전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

김영주 의원실 관계자는 “권영수 부회장 증인 출석이 의결되고 나서 LG유플러스로부터 그 동안의 입장(다단계 판매 영업 강행)과 반대되는 내용을 자발적으로 발표하겠다는 공문을 받았다”면서 “이에 따라, 출석 증인 변경도 허락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 문제가 더 이상 커지는 것에 대한 경영상 리스크를 판단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다단계 판매 업체에 대한 단순 지원 중단이 아니라 실질적인 사업 중단의 내용이 될 것으로 본다”며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위증에 해당된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측도 “다단계 판매중단은 공정위 국정감사장에서 확인하면 된다”면서 “김영주 의원실에 확인해 달라”고 말했다.

당초, LG유플러스는 다단계 판매영업은 계속하되, 문제가 되는 부문은 개선하겠다고 밝혀왔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달 말 기자 간담회에서 “다단계 판매 자체는 글로벌 마케팅 수단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잘못 시행되고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기회를 준다면 개선을 하고 지속 여부는 그 다음 판단하겠지만, 논란에 밀려 그만 두지는 않겠다”고 밝힌바 있다. 황현식 부문장도 지난 6일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에 대한)세간의 지적이 있었다는 건 알고 있다”면서도 “적정한 범위 내에서 사회적 이슈가 되지 않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 다단계 전문업체 IFCI '타격' 불가피

LG유플러스가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 영업을 중단할 경우,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곳은 LG유플러스의 다단계 판매 업체 IFCI다.

IFCI의 경우 지난 5월 공정위로부터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시정명령을 부과 받았지만, 행정소송을 진행해 법원으로 부터 집행정지 결정을 받아냈다. 이에 공정위는 다시 재항고를 했고, 해당 건은 고등법원으로 넘어간 상태다.

현재는 공정위 시정명령에 대한 집행정지 결정이 난 상태지만, 적지 않은 피해자들이 IFCI 다단계 판매 방식을 문제 삼으며 시위를 이어 나가고 있다.

윤종오 국회의원에 따르면 IFCI 누적가입자는 올 6월 기준으로 21만4695명에 달한다. 이는 LG유플러스 전체 다단계 누적 가입자 수 38만285명의 56%에 달한다.

IFCI 홈페이지 캡쳐 사진.

올해 IFCI를 통해 신규로 가입한 고객은 6만5137명으로 LG유플러스 다단계 신규 가입자 9만3734명의 69.5%를 차지했다. IFCI의 올 6월 기준 가입자 수는 21만4695명이며, 지난해 매출은 2013억원에 달한다.

공정위는 지난 7월 휴대폰 다단계 판매업체들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상위 1%만이 판매원 전체 수당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며 주의를 촉구한 바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다단계 피해 사례가 감지되자 지난 7월부터 실태 점검에 나섰다.

관련기사

이동통신 업계는 LG유플러스의 다단계 판매 중단을 계기로, 휴대폰 다단계 영업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SK텔레콤은 연내까지 다단계 영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고, KT도 영업중단 기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 중단이) 사실일 경우 현재 활동 중인 판매원 피해가 불가피하지만, 상위 1%가 60~70% 수익을 가져가는 불합리한 구조에서 지금이라도 중단하는 것이 더 큰 피해를 줄이는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