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도 ‘개방’…SKT ‘플랫폼’ 전략 잰걸음

이달 클라우드베리 출시해 개방 예정…올 연말까지 5G 시범망 구축

방송/통신입력 :2016/08/15 10:12    수정: 2016/08/15 14:50

SK텔레콤이 자사 가입자에게만 제공했던 T맵, T전화, 클라우드 등 주요 서비스를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모두에게 개방하면서 플랫폼 사업자로의 변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올 상반기 SK텔레콤은 이동통신 산업의 성장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현실 인식아래 차세대 플랫폼 사업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해왔으며, 최근 국내 증권가들도 SK텔레콤의 이러한 노력에 기대감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난달 SK텔레콤의 2분기 실적 발표 이후에는 다수 증권사가 ▲통신사업 안정화 ▲비(非)통신 외형 성장 기대 ▲중장기 성장을 위한 노력 등을 근거로 대체로 SK텔레콤에 대한 매수 의견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이학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SK텔레콤의 MNO 사업이 안정화를 보이고 있고, 미디어 부문 및 T맵에서 경쟁 우위를 확인시켜 주고 있어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KB투자증권 정승규 연구원도 “무선통신 1위 사업자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커머스, 미디어, IoT 등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자 하는 SK텔레콤의 사업 방향성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오는 19일부터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을 전면 무료화 한다 (사진=SK텔레콤)

■ 개방 통해 몸집 불린다…‘T전화-T맵’ 이어 ‘클라우드베리’까지

지난해 4월 SK텔레콤은 미래 성장을 위해 ▲생활가치 플랫폼 ▲통합 미디어 플랫폼 ▲IoT 서비스 플랫폼 등 ‘3대 차세대 플랫폼’ 전략을 내세우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선포했다.

이를 위해, 최근 SK텔레콤은 자사의 킬러 서비스들을 전면 개방하며 플랫폼 사업을 위한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 19일에는 전체 가입자 1천800만명, 하루 이용자 약 220만명(주말 기준)에 달하는 국내 1위 모바일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을 전 국민에 무료로 개방해 1주일 만에 43만명의 신규 사용자를 확보했다.

다른 내비게이션 서비스들의 주간 사용자 규모가 30만명에서 많게는 150만명 정도임을 고려할 때, T맵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런 T맵의 플랫폼 화를 통해 생활가치?IoT플랫폼 및 커넥티드 카?전기차 사업 등 잠재적 미래 성장 사업에 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SK텔레콤은 통화 플랫폼 ‘T전화’를 모든 이용자에게 개방해 6월말 기준 가입자 970만명을 확보했고,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제휴할인 서비스인 ‘T라이프’도 선보였다.

특히, 8월에는 아이디 기반으로 가입한 통신사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베리’를 출시해 개방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SK텔레콤 사물인터넷 전용망 전국 구축.

■ 전국 ‘IoT 전용망’에 ‘스마트홈’까지

SK텔레콤의 '통합 미디어 플랫폼' 역시 무서운 속도로 성장 중이다.

특히 SK텔레콤의 IPTV인 Btv 가입자 수는 올 상반기 27만8천명이 순증하며 누적 가입자 376만명을 기록하면서 IPTV 1위 사업자인 KT의 올레tv'가입자 수의 순증 폭인 26만명을 앞질렀다.

Btv의 성장 속도는 매출로도 확인된다. SK텔레콤의 IPTV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지난 2월 SK브로드밴드가 선보인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 ‘옥수수’ 역시 빠르게 몸집을 키워나가고 있다. 옥수수는 6월말 기준 순방문자 수 310만명, 1인당 월 평균 이용시간 206분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SK텔레콤의 ‘IoT 서비스 플랫폼’ 전략은 보다 더 먼 곳을 바라보고 있다. 단기 매출보다는 생태계 조성에 주력해 향후 더 큰 사업을 펼치겠단 계획이다.

에 SK텔레콤은 지난달 초 국내 최초로 IoT 전용망인 로라(LoRa) 네트워크 전국 상용화를 선포했다. 또 모듈 전문기업 3개사를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로라 전용 모듈 10만개를 6월말부터 무료로 배포 중이다.

이를 통해 이달 말까지 최소 200개 이상의 기업이 로라 전용모듈 기반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IoT 전용망 전국 상용화를 시작으로 2020년 13조7천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IoT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 서비스도 속속 상용화할 예정이다. 7월 가스 AMI 사업, 초중등학교 대상의 세이프 워치(어린이, 노인, 여성 등 안전관리가 필요한 고객 대상 응급 알림 웨어러블 기기) 사업을 시작으로, 8월 창조마을의 환경 모니터링, 9월 지자체 등과 맨홀 관제, 10월 실시간 주차 공유 등 연말까지 총 20개의 신규 서비스 출시될 전망이다.

스마트홈 서비스의 경우에도 건설?보안?가전업계 등 각 분야 선도 사업자들과 협업을 통해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6월말 기준 제휴 업체 46개, 연동기기 43개를 기록 중이며, 연말까지 제휴업체 50개, 연동기기 70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20년까지 국내 신규 분양 주택의 50% 이상에 스마트홈 서비스를 공급, 스마트한 주거 문화를 제공할 계획이다.

■ ‘5G 선도’…이동통신 본원 경쟁력도 강화

이통 3사 중 가장 넓은 LTE 주파수도 SK텔레콤의 핵심 경쟁력이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주파수 경매에서 글로벌 LTE 공통대역인 2.6Ghz 대역 60MHz 폭을 새로 확보했다. 기존 800MHz, 1.8GHz, 2.1GHz 대역에 이어 신규 2.6㎓대역 60㎒폭까지 확보하면서 경쟁사와 격차를 벌렸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5개 주파수 대역을 묶는 5밴드 CA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향후 상용화될 5G와 IoT 등을 감안하면 이통사 입장에서는 되도록 많은 주파수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SK텔레콤은 확보한 주파수 및 우수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올해에는 LTE-A Pro(3밴드 CA+256쾀), 내년에는 주파수 4개 대역을 묶는 4밴드 CA, 2018년에는 5밴드 CA로 최대속도 1Gbps를 구현할 계획이다.

LTE 전환에 따른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 지난 6월 기준 SK텔레콤 LTE 가입자는 2천2만명으로 전체 가입자 대비 68%다. 70~80%에 달하는 경쟁사에 비해 SK텔레콤 LTE 가입자 비율은 낮은 편이다. SK텔레콤의 2G와 3G 가입자는 각각 220만명, 460만명으로, 이들이 LTE로 전환할 경우 수익성 개선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기술 표준화를 앞둔 5G 역시 SK텔레콤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페이스북, 인텔, 도이치텔레콤, 영국 EE 등 43개 글로벌 ICT 기업이 5G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창립한 ‘텔코 인프라 프로젝트(Telco Infra Project)의 의장사로 선정돼 글로벌 5G 진화를 선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또한, 지난 6월에는 에릭슨과 공동으로 5G 상용화 장비 개발을 완료했고 올 연말 5G 시범망 구축을 목표로 단계적인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VR, AR, 커넥티드카 등 최근 부상하고 있는 ICT 트렌드와 5G의 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로 인한 트래픽 유발과 매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