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③]경제혁신센터를 전진기지로

혁신·신산업·상생의 생태계로 최적지

방송/통신입력 :2016/07/15 15:38    수정: 2016/07/18 09:19

최경섭 기자

대한민국 경제에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다. 수출은 18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소비심리도 살아날 기미가 안 보인다. 일자리 문제도 심각하다. 청년은 청년대로 장년은 장년대로 실업의 위기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기업이 체감하는 위기감은 더 심각하다. 국내 1위 삼성 그룹만 봐도 현재 국면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지 알 수 있다. 삼성은 지난해부터 비주력 사업을 선제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전자와 금융을 중심으로 잘 할 수 있는 사업만 하자는 뜻이다.

최태원 SK 그룹 회장은 “변하지 않는 기업은 서서히 죽어가는 게 아니라 돌연사 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실제로 조선과 해운업은 생사를 가를 중병에 걸려 국가적인 수술대 위에 올라 있다.

대한민국 경제가 이처럼 중대 위기에 빠진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상시적인 글로벌 경제 위기와 국내 전통 산업의 경쟁력 약화다. 모두 제4차 산업혁명과 무관하지 않다. 제4차 산업혁명이 위기의 원인이자 위기를 헤쳐나갈 돌파구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전통 산업을 혁신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지향적인 신산업을 육성하는 게 위기 탈출의 해법일 수밖에 없다.

문제는 방법론이다. 전통 산업을 어떻게 혁신하고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어떻게 만들어내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여러 해법이 있을 테지만 지디넷코리아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를 실효성 있게 리모델링할 것을 제언한다.

혁신센터를 제대로 리모델링할 경우 △전통 산업 혁신 △신사업 발굴 △대-중소기업의 창조적 상생을 위한 훌륭한 전지기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혁신센터를 통해 경제 위기를 돌파할 3마리의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신산업 발굴의 기지다

혁신센터는 2014년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시작으로 현재 전국 17개 권역에서 18개 대기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의 거점이자, 해당 기업에게는 경쟁력 향상을 위한 혁신의 수혈 창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제조 산업부터 중화학, ICT, 바이오 등 신산업에 이르기까지 우리 경제의 중추적인 분야가 망라돼 있다.

특히 각 권역별로 스마트팩토리(경북-삼성), 수소차(광주-현대기아차), R&D형 신사업(대전-SKT), IoT·게임(경기-KT) 등 미래형 신사업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혁신센터가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의 현장인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오전 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및 지원기업 대표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이제 전통산업의 성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혁신센터가 SK그룹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 센터장은 특히 “창조경제혁신센터를 4차 산업혁명의 구심체로 삼아야 한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대기업-중기벤처-스타트업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혁신센터가 충분히 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타트업의 산실이다

혁신센터는 채 2년이 안됐지만 투자와 창업 측면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전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거쳐간 창업기업이 1천개(2016년 5월말 기준)를 넘어섰다. 투자 유치 금액도 1천766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 이후 움츠렸던 창업 열기에 새로운 불씨를 지피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수도권 중심이 아니라 각 거점을 통해 지역 창업이 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각 지역에 산재한 대학과 기업이 연계해 창업 컨설팅부터 투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지역의 창업 자양분을 빨아들여 키우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도 혁신센터를 구심점으로 벤처 창업 열기를 확산시키고 나아가 한국을 '스타트업 허브'로 만드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한 마음 한 뜻으로 뚜렷한 비전과 문제 의식을 공유하며 협력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한국에서 글로벌 스타 벤처가 이어지고, 세계의 재능있는 청년들이 한국으로 모여들어, 대한민국이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통산업 혁신 기지다

혁신센터는 전통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기반이 될 수도 있다.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마트 팩토리 사업의 메카’를 선언하며 지난해 119개 중소기업에 스마트 공장 서비스를 지원했다. 중소 협력 업체의 생산 혁신으로 생산성이 평균 2배 향상되고 매출도 150% 이상 증가했다는 자료가 보고됐다.

(왼쪽부터)정명효 섬유연합회 회장, 임덕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장, 김응환 유일전산시스템 대표 (사진=삼성전자)

스마트 팩토리 효과가 커질 경우 싼 인건비를 찾아 중국이나 베트남으로 이전했던 공장들이 국내로 유턴할 가능성이 커진다. 좋은 일자리가 다시 생긴다는 뜻이다.

혁신센터는 특히 성장 정체에 직면한 대기업 주력 사업의 구조를 개편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지난 6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 1주년 기념행사에서 SK해운, 인텔,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등 5개 기업 및 기관과 ‘스마트십(Smart Ship) 조성을 위한 공동 협약(MOU)’을 체결했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조선 업종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혁신을 돌파구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

■정부와 기업의 완벽한 호흡이 중요하다

혁신센터는 이처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3가지 강점을 가졌지만 리모델링을 해야 할 요소도 적지 않다.

정부와 기업이 지금보다 더 긴밀히 호흡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부 센터의 경우 "정부 요구에 떠밀려 형식적으로만 운영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혁신센터 운영진의 면모를 봤을 때 혁신이나 상생과는 거리가 먼 인물이 연명을 위해 자리 보전이나 하고 있는 거 아니야"는 지적도 일부 있다.

혁신센터의 활용 가치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 문제를 잘 아는 한 전문가는 "정부와 기업이 잘 호흡하려면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혁신센터를 통해 단기적인 성과를 채근할 게 아니라 긴 안목으로 상생과 혁신을 위한 생태계를 만드는 쪽으로 정책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4차 산업혁명은 일시에 끝나는 일이 아니다.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과거와 획기적으로 다른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난해한 작업이다. 전국에 산재한 혁신센터가 그 핵심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차분하고 튼튼하게 기지를 건설해야 한다.

그러러면 지속성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장기적 안목의 리모델링을 통해 정권이 바뀌어도 공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