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 품은 폭스콘의 노림수는 올레드

"흑자화는 이그조, 결국 아이폰 때문에 OLED로 갈 것"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6/04/04 16:40

“이그조(IGZO) 기술은 세계 최고 기술이다. 비용 절감 메리트가 있고 소형화도 가능하다. 올레드(OLED)보다 이그조를 밀고 싶다.”

일본 샤프를 인수한 혼하이그룹의 궈 타이밍 회장(사진 왼쪽)은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이그조 디스플레이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그조 기술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설 것으로 여겨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과 비교 우위에 있다는 태도까지 취했다.

그럼에도 폭스콘이 결국 OLED로 선회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국내 관련 업계는 아이폰 생산 하청을 맡고 있는 혼하이 산하 폭스콘의 주력 사업을 고려하거나, 향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대응을 위해서는 OLED에 뒤늦게 뛰어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궈 타이밍 회장이 강조한 이그조 디스플레이는 낮은 전력소모와 생산비용,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한 TFT LCD 방식이다. 액정을 구현하는 산화물 반도체의 기반 원소인 인듐(In), 갈륨(Ga), 아연(Zn)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사진 = 미국 지디넷닷컴

이그조 기술의 원천특허는 일본 과학시술 진흥기구(JST) 등에 있으며 샤프는 지난 2012년부터 양산에 돌입했다. 아이폰5에 채용되면서 각광을 받기도 했던 기술이다. 다만 OLED의 여러 특장점을 LCD라는 한계 때문에 쫓아올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샤프를 손에 넣은 궈 타이밍 회장은 이그조를 60%, OLED를 40%라며 향후 생산비중을 밝혔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당장은 이그조 디스플레이를 양산할 수 밖에 없는 생산설비와 기술 수준을 고려한 궈 회장의 발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혼하이가 샤프의 흑자화 기점을 2~4년 정도로 목표로 삼았는데 이 기간 동안 이그조 디스플레이를 바탕으로 대형 LCD 시장에서 수익을 내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진=일본 씨넷

샤프가 OLED 판에 뛰어들 때까지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이그조를 중심으로 가져갈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후 흑자 기점까지는 이그조에 집중하지만, 애플 아이폰 수요에 맞춰 OLED를 준비하는 단계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폰 위탁 생산을 맡고 있는 폭스콘이 이를 따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을 택할 미래에도 줄곧 이그조 LCD만 바라볼 수 없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현재 제조라인도 갖추지 않은 샤프의 OLED 생산비중을 40%에 맞추겠다고 밝힌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업계 관계자는 “혼하이가 인수 발표를 하면서 내놓은 샤프 투자계획은 대부분 OLED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2020년 정도에 경쟁 가능한 수준으로 만든 뒤 OLED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