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U+ "SKB 콘텐츠 투자 계획 공허해"

"CJ헬로 인수합병 연관성 찾기도 어려워"

방송/통신입력 :2016/03/08 13:31    수정: 2016/03/08 13:33

KT와 LG유플러스가 SK브로드밴드의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계획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번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계획과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 간의 연관성을 찾기 어렵고, 펀드 조성 계획 역시 공허하다는 주장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8일 ‘SKB의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발표 관련’이라는 제목으로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는 오늘 발표된 SK브로드밴드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을 겨냥한 비판으로, SK브로드밴드는 간담회에서 5년 간 총 5천억원을 콘텐츠 산업 활성화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또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 합병법인 출범 이후 1년간 총 3천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운영하는 방안도 공개했다. 이 중 2천200억원은 드라마, 1인창작자(MCN), 가상현실(VR) 등의 콘텐츠 제작에 투입하고 1천억원은 스타트업 지원에 나선다.

SK브로드밴드의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옥수수'

하지만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을 반대하는 KT와 LG유플러스는 곧바로 SK브로드밴드의 콘텐츠 활성화 방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인수합병을 전제로 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조성된 금액을 콘텐츠 활성화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이 공허하다는 주장이다.

또 이번 투자 계획안과 인수합병과의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KT와 LG유플러스는 “인수합병을 전제로 콘텐츠 투자를 위한 펀드를 조성한 뒤 운영하겠다는 것은 방송통신에 이어 콘텐츠 유통시장 독점화를 위해 자사 미디어 플랫폼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라면서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를 명분으로 미디어-콘텐츠 산업간 배타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SK브로드밴드가 밝힌 투자 금액은 실제로 1천500억원(나머지는 재투자 및 외부투자 유치)규모며, 직접 투자가 아닌 펀드 형식으로 콘텐츠 펀드의 투자 내역은 기존 SK브로드밴드에서 진행해온 내용이다”며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에 비정상적인 쏠림으로 생태계가 황폐화 되고 SK텔레콤의 지배력 확대를 통한 독점강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