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시스코, ‘新 IoT 솔루션’ 개발 협력

‘씽플러그’-‘포그컴퓨팅’ 장점 결합

방송/통신입력 :2016/01/24 10:32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이 네트워크 설비 제조판매 업체인 美 시스코와 신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22일 오후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의 최진성 종합기술원장과 시스코의 글로벌 통신사업본부 스콧 푸오폴로 부사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SK텔레콤의 통합 IoT 플랫폼 ‘씽플러그’와 시스코의 IoT 인프라 운용 기술인 '포그컴퓨팅'의 장점을 결합해 혁식적인 IoT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SK텔레콤이 지난 6월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오픈한 IoT 플랫폼 씽플러그는 디바이스, 앱과 쉽게 연동이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이다. 포그컴퓨팅은 각종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생성된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명령을 내려 스스로 작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코의 기술이다.

양사는 씽플러그에 포그컴퓨팅이 결합된 신규 IoT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IoT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인 서버 플랫폼과 게이트웨이 장비는 각각 SK텔레콤과 시스코가 제공하고, 이 기반 위에 작동할 앱과 센서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22일 오후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의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사진 왼쪽 5번째)과 시스코의 글로벌 통신사업본부 스콧 푸오폴로 부사장(사진 왼쪽 6번째)이 참석했다.

5G가 상용화 될 2020년경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의 수가 500억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속도로, 공항, 공사현장 등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물이 오가는 곳에서는 극심한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사는 이 솔루션이 적용되면 사물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원거리에 위치한 클라우드 서버로 보내지 않고 데이터 발생 지점에서 분석하고 상황에 맞게 처리할 수 있어 중앙으로 집중되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혁신적인 IoT 기술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갈수록 치열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스코와 같은 역량 있는 파트너와의 제휴는 기술 리더십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SK텔레콤의 기술 경쟁력을 세계 무대에 입증하고 국내외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스콧 푸오폴로 부사장은 "신규 IoT 솔루션 개발을 통해 전세계 서비스 공급자들의 서비스나 데이터 관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선도적인 IoT 기술을 갖고 있는 SK텔레콤과 협업하는데 자부심을 느끼고, 이 협업이 향후 양사에게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은 2012년 국내 최초로 '개방형 M2M 플랫폼'을 구축해 상용화했다. 작년에는 국제 표준인 'oneM2M'을 기반으로 한 통합형 IoT 플랫폼 씽플러그를 선보였다. 지난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개최된 'CES 2016'에서는 대표적인 글로벌 IoT 표준인 oneM2M과 OIC의 연동을 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