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신산업 창출과 주력산업 고도화를 총력 지원한다. 정부주도로 신산업을 창출하던 방식을 민간 주도로 전환하고 대신 정부는 과감한 규제 개선과 민간 투자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금융, 세제, 인력, 판로 등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산업부 등 7개 부처(미래부, 문화부, 복지부, 금융위, 방통위, 중기청)는 18일 판교 차바이오 컴플렉스에서 2016년 연두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이번 업무보고는 ‘경제혁신 Part Ⅱ -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이라는 주제 하에 7개 부처별로 소주제에 대해 보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성장동력 창출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산업부는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로 우리 산업이 성장과 정체의 변곡점에 있다”면서 “선진국은 신산업 선점을 위해 무한경쟁을 진행하고 있고, 우리는 유망 분야에 민간 투자가 태동 단계지만 전반적인 성장동력 창출이 지연되고 있는 만큼 민간이 투자하는 분야를 선택 집중해 총력 지원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2016년도 중점 추진방향은 ▲정부주도 신산업 창출→민간주도 전환 ▲과감한 규제개선 ▲민간 투자분야에 R&D·금융·세제·인력·판로 등 전방위적 정부 지원 역량 집중으로 정했다.
산업부는 이를 통한 기대성과로 오는 2017년 ▲전기차 보급대수 5천600대 → 4만3천대 ▲로봇생산 2.8조원→3.8조원 ▲소비재 수출비중 5.3% → 6.5% ▲신재생에너지 매출 14.3조원 → 28.1조원 ▲OLED 수출 56억달러 → 82억달러▲ 프리미엄 선박수출 20% → 46% 증가를 전망하고 있다.
■민간의 유망 신산업 투자에 맞춤형 지원
지난 3년 간 19대 신성장동력 등 정부의 기반조성을 바탕으로 민간 분야에서도 65개 기업이 5대 신산업 분야에서 ▲ICT융합 1.9조원 ▲바이오·헬스 1.8조원 ▲신소재부품 2.1조원 ▲에너지신산업 6.4조원 등 2018년까지 12조2천억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정부는 신성장동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민간의 유망 투자방향에 맞춘 분야별 지원 방안을 내놨다.
우선 ICT 융복합 분야에서는 전기차는 주행성능 향상과 충전인프라 확충, 스마트카는 부품 국산화, 시험환경을 확충하기로 했다. 무인기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테스트 베드 구축, 지능형 로봇은 초기수요 창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규제개선, 스마트홈은 표준화 및 플랫폼 활용을 우선 추진 과제로 꼽았다. 에너지 신산업 분야의 경우 전력저장장치(ESS)는 송배전, 발전용 등 신규수요 창출 및 기술개발, 태양광은 투자확대 및 해외진출, 스마트그리드는 성공모델 정착 및 확산에 초점을 맞춘다.
바이오·신소재·소비재 분야의 경우 바이오헬스는 초기투자 자금 확보지원 및 병원수요를 반영한 수요 연계형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첨단 신소재는 규제완화(탄소섬유), 시험인증기반 구축(타이타늄) 으로 초기단계 시장 확보를 주요 과제로 꼽았다. 고급 소비재는 전문학과 확충(화장품), 수출전문단지 구축(식료품), 현지진출거점 구축(생활유아용품)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함께 주력산업의 사업재편과 고부가가치화도 동시에 지원한다.
조선·철강·석유화학 분야의 경우 민관 공동의 사업전망 및 적정설비 전망을 토대로 적극적·선제적 사업재편 및 제도개선에 나선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 조기제정과 민관합동협의체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올 상반기 중으로 산업구조조정 협의체를 통해 석유화학`철강 보고서를 마련할 예정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의 경우 대규모 투자를 통한 세계 1위 경쟁력 유지를 위해 인프라 구축 애로 해소에 나선다. 플랜트·원전·방산 분야는 미래 유망기술과 수출형 기술의 선제적 개발(저탄소 고효율 발전), 수은, EDCF, AIIB 등 경제협력자금을 활용한 수출금융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 "정부 R&D 지원제도 한눈에"...모바일 앱 출시2016.01.18
- 2020년까지 수소차 가격 40% 싸진다2016.01.18
- 산업부, 중기에 삼성電 2천987개 기술 무료 이전2016.01.18
- 드론·무인차 시험 주행장 만든다2016.01.18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민간투자 지원
산업부는 이와 같은 부문별 지원시책 외에도 전방위적 규제 완화와 정부지원으로 민간투자 지원 시스템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