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빅데이터 '성장기'...1년동안 30% 이상 ↑

2천623억원 규모…“민관 적극적 투자 덕분”

방송/통신입력 :2016/01/14 12:00

지난해 국내 빅데이터 시장이 투자 확대를 통해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및 K-ICT 전략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산업 지원에 나서 2015년 국내 빅데이터 시장규모가 2천623억원에 달해, 지난 2014년 대비 30% 이상(2014년 2천13억원)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미래부는 국내 시장 규모가 성장한 이유 중 하나로 민관의 적극적 투자를 꼽았다. 빅데이터 관련 정부투자는 2014년 490억원에서 2015년 698억원으로 42.4% 확대됐다. 민간투자는 1천925억원으로 26.4%로 성장하는 등 전반적으로 빅데이터 투자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영역별로는 스토리지 시장이 전체 시장의 26.9%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소프트웨어 23%, 서버 22.1%, 서비스 19.5%, 네트워크 8.4% 등 타영역의 성장 또한 두드러졌다. 특히 서비스 비중이 2014년 11.3%에서 2015년 19.5%로 성장, 빅데이터가 전체 시장 전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전체기업(종업원 100인 이상)의 빅데이터 도입률을 살펴보면 2014년 3.9%에서 2015년 4.3%로 상승했다. 특히 매출액 1천억원 이상 기업의 도입률은 2014년 8.1%에서 2015년 9.6%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빅데이터에 대한 전체기업의 관심 수준은 낮지만, 빅데이터 도입을 위한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를 도입한 기업들 대부분은 ‘고객관리 및 마케팅’, ‘리스크 관리’, ‘비즈니스 변화 모니터링’ 등에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기업들이 실질적 매출과 연계되는 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대가 높음을 보여준다.

국내 전체기업(100인 이상)의 빅데이터에 대한 향후 도입의사는 30.2%다.(2014년 26%)

마지막으로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 요구로는 ‘빅데이터 관련 성공사례 전파’와 ‘관련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기업들은 업종별로 활용이 가능한 빅데이터 성공사례나 모델 개발이 정부사업을 통해 적극 마련된다면 산업 활성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빅데이터의 분석, 활용 및 거래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법 제도적 정비가 이뤄지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이번 빅데이터 시장현황 조사는 국내 빅데이터 시장 규모 및 실태를 정확히 진단해 ‘지능정보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객관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국내 빅데이터 시장 전반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초자료”라며 “미래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에 빅데이터 선도서비스 및 주요산업분야 전략모델 실증사업을 확대하고 중소기업, 스타트업에 대한 사업화 지원을 강화하는 등 빅데이터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