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스마트 수화방송 시범사업 추진

최성준 방통위원장, 수화방송 개선 사업자 간담회 개최

방송/통신입력 :2015/08/21 16:37

정부가 스마트 수화방송 서비스 도입을 위한 시험방송을 추진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 간담회를 갖고 수화방송 개선 사업을 위해 사업자 의견을 청취하고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스마트 수화방송 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반구축 및 실험방송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분당 소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방문해 관련 사업자의 의견을 청취했다.

현재의 수화방송은 방송사에서 고정된 크기의 수화화면을 방송영상에 미리 합성해 방송망으로 송출하고 있다. 농아인협회 등 장애인단체는 수화영상의 크기가 작아 방송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기 곤란하므로 크기 확대를 요청하는 반면에 일반 시청자는 수화영상이 방송영상을 가려 TV시청이 불편하므로 수화영상 제거를 요청하고 있다.

최성준 방통위원장

방통위는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해 양측의 수요를 충족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방송영상은 현재의 방송 송출 방식에 따라 송출하고 수화영상은 인터넷망으로 별도로 송출해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 및 크기 조절, 제거가 가능한 스마트 수화방송 서비스 도입을 결정했다.

지난 2014년에 KBS에서 실험방송을 실시했고, 올해는 KT스카이라이프, SK브로드밴드, CJ헬로비전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실험방송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실험방송을 추진 중인 4개 방송사업자 및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관계자들이 참석해 현행 수화방송 개선 및 스마트 수화방송 추진 방향 등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관련기사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은 정부의 중장기적 추진정책을 마련하는데 적극 반영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 최성준 위원장은 시청각장애인 등 소외계층에 대한 방송접근권 향상을 위한 노력은 정부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함께 참여해 적극 추진해야 할 사항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