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직업병 가족위 “조정위 추가조정 보류해달라”

"9월 말까지 삼성과 직접 협상, 성과 지켜봐 달라"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5/08/10 18:43    수정: 2015/08/10 18:44

송주영 기자

삼성 직업병 피해보상과 관련 가족대책위원회(가족위)가 오는 17일 이후로 예정된 추가 조정기일을 미뤄달라고 조정위원회 측에 요구했다. 가대위는 삼성전자와 당사자 직접 협상을 통해 조정안을 마련하고 보상안을 구체화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10일 가대위 관계자는 “조정위에 당사자들끼리 얘기할 수 있도록 조정기일을 9월말로 늦춰달라고 뜻을 (조정위원회 측에)전달했다”며 “먼저 협상 당사자들끼리 얘기하는 것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가대위는 이미 삼성전자, 반올림까지 협상 주체들이 협상에 필요한 입장을 밝힌 상황이어서 지난해 말과는 달리 조정위 조정이 오히려 협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봤다. 입장들이 명확해진 이상 이견을 좁혀나가려면 조정위를 통한 조율보다는 당사자끼리의 협상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삼성전자 직업병 조정위원회가 지난달 23일 서울 충정로 법무법인 지평에서 직업병 권고안을 발표했다.

가대위는 이날 삼성일반노동조합 홈페이지에도 조정기일 연기와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입장 발표문에는 “난항을 겪던 삼성전자 반도체 백혈병 문제 해결을 위해 커다란 초석을 놓아주신 조정위원회에 감사를 드린다”면서도 “앞으로 가대위는 삼성전자와 당사자 협상을 통해 사과와 보상문제를 신속히 합의하고 나아가 대책에 관해서도 공감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 “2015년 9월 말을 1차 시한으로 하여 삼성전자와 당사자 협상을 마무리하고자 노력할 것이므로, 조정위원회는 그 때까지 조정기일의 지정을 보류하며 성과를 지켜봐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가대위는 조만간 삼성전자에게도 직접 협상을 제안할 계획이다. 다만 반올림과는 협의된 내용이 아니어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가대위는 삼성전자 직업병 피해 의심 6명의 유가족이 지난해 반올림과 의견을 달리하면서 만들어진 교섭 주체다. 가대위는 반올림과는 달리 삼성전자와의 직접 협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조정위 권고안이 지속된 이견으로 시간만 지체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난달 23일 1천억 기금 조성, 공익법인 설립 등 권고안을 내놓은 조정위는 오는 17∼21일 이들 교섭 주체들과 비공개회의를 통한 후속 조정에 들어갈 예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