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보이스피싱에 대비해 정부와 이동통신사가 문자메시지 발송 시스템을 구축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지능화됨에 따라 ‘대국민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제공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경찰청, 금융감독원, 한국소비자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통신서비스 모니터링 유관기관과 협력해 통신서비스 피해정보를 공유할 방침이다. 광범위한 이용자 피해가 예상될 경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가 가입자에게 통신서비스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했다.

현재 각 기관에서는 통신서비스 피해발생시 개별적인 보도자료 배포에 의존하고 있다. 때문에 이용자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 방통위, LG유플러스-SK텔링크 제재수위 곧 결정2015.07.27
- 방통위, KBS 방문진 이사 지원자 결격확인 대상자 선정2015.07.27
- 인터넷 명예훼손 제3자도 삭제요청?…“정당한 비판 차단” 비난 고조2015.07.27
- 방통위, 방송통신 정책 아이디어 공모2015.07.27
문자메시지 발송기준은 이용자 피해가 심각히 우려되거나 피해규모가 커서 대국민 전파가 필요한 사안 등으로 한정한다. 기관 사칭이나 이용자 혼동 등을 줄이기 위해 이통사 고객센터 명의로 발송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피해예방을 위한 문자메시지를 귀찮다고 차단하기 보다는 좀 더 주의를 기울이는 계기로 삼아 온국민이 안전하게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