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신-TV시장, 초대형 태풍 또 온다

위성TV사업자 디시- 4위 통신업체 T모바일 합병 추진

방송/통신입력 :2015/06/05 09:34    수정: 2015/06/05 10:11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미국 미디어 및 통신 시장에 또 다시 초대형 합병이 추진되고 있다.

미국 2위 위성TV 사업자인 디시 네트워크와 통신시장 4위 업체 T모바일이 합병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찰기 어겐 디시 네트워크 최고경영자(CEO)인 통합회사 회장, 존 레게르 T모바일 CEO가 통합회사 CEO를 맡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하지만 두 회사는 아직 인수 금액을 비롯해 결제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위성TV사업자인 디시가 통신사업자 T모바일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씨넷]

월스트리트저널은 두 회사 합병 협상이 아직은 ‘형성단계(formative stage)’이며,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최근 미국 통신 시장에선 초대형 합병이 연이어 성사됐다. AT&T가 디시의 라이벌인 디렉TV를 490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미국 최대 유료TV 사업자로 떠올랐다. 차터 커뮤니케이션스는 최근 타임워너 케이블 등을 인수하면서 미국 2위 케이블 사업자로 부상했다.

■ 성사 땐 위성TV-통신 시장서 시너지 기대

디시와 T모바일 간의 합병 역시 이들에 못지 않은 파괴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디시의 시가 총액이 330억 달러, T모바일은 310억 달러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 4위 통신사업자인 T모바일은 4천47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디시는 위성TV 가입자 1천380만명, 인터넷 가입자 59만1천명을 확보하고 있다.

두 회사는 규모 면에서 미국 통신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AT&T와 버라이즌에 크게 못 미친다. 하지만 두 회사가 합병할 경우 약한 고리를 잘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많다. IT 전문 매체인 아스테크니카가 “AT&T와 버라이즌이 두려워할 요소가 많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우선 위성TV 사업자인 디시는 인터넷 서비스 쪽이 취약하다. 전통 TV 시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치명적인 약점이다. T모바일과 한 몸이 될 경우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존 레게르 T모바일 CEO [사진=씨넷]

둘이 합병할 경우 통신 시장에서도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시는 최근 무선 주파수 라이선스를 대거 확보했다. 위성TV사업자이면서도 통신사업자인 T모바일과 비슷한 수준의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다. 아스테크니카는 둘이 합할 경우 AT&T나 버라이즌보다 더 많은 주파수를 갖게 된다고 전했다.

주파수 양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주파수냐’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도 두 회사는 ‘환상의 조합’이 될 가능성이 많다.

그 동안 T모바일은 AT&T와 버라이즌 등 양대 통신사가 저대역대 황금 주파수를 독식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T모바일 역시 700MHz 대역을 일부 갖고 있긴 하지만 좀 더 많은 주파수가 필요하다고 불평해 왔다.

디시가 바로 이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디시는 저대역 700MHz 대 주파수를 꽤 많이 갖고 있기 때문이다.

■ 600MHz 주파수 향방에도 관심

찰기 어겐 디시 CEO. [사진=씨넷]

주파수와 관련해 주목되는 부분은 또 있다. 연방통신위원회(FCC)는 TV 방송사들이 갖고 있는 600MHz 대역 주파수 경매를 추진하고 있다. 600MHz 주파수 경매에는 AT&T나 버라이즌 같은 대형 통신사업자는 참여 자체가 배제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현재 스프린트, T모바일, 디시 등은 600MHz 주파수 중 중소사업자에게 할당할 부분을 좀 더 늘려달라고 FCC를 압박하고 있다.

관련기사

T모바일은 이미 여러 차례 거대 통신사들과 염문을 뿌린 전력이 있다. AT&T와 스프린트가 이미 한 차례씩 T모바일 인수를 시도했다가 규제 강국의 반대로 무산된 전력이 있다.

하지만 디시와 T모바일 간 합병엔 이런 이슈가 불거질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4대 전국 사업자가 지배하고 있는 현 시장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