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韓 문화유산 기가픽셀로 감상하세요”

10개 기관, 1천500여 작품 새롭게 추가

일반입력 :2015/05/14 13:42

구글이 14일 종로구 소격동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에 새롭게 추가된 국내 파트너를 소개했다.

또 국내 최초 기가픽셀 작품 및 전 세계 파트너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제작 플랫폼을 선보였다.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는 구글이 전 세계의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다양한 문화유산을 누구나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세계 문화유산 온라인 전시 사이트다. 현재 60개국 70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한국사립미술관협회·국립중앙박물관·국립제주박물관·한국영상자료원·해녀박물관 등과 협력하고 있다.

이번에 추가된 국내 파트너는 총 10곳이다. ▲국립현대미술관 ▲근현대디자인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재단법인 아름지기 ▲음식디미방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호림박물관 ▲한국음반산업협회 등이다.

특히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조선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의 원삼을 포함한 다채로운 전통 복식을 전시하고, 한국음반산업협회가 K팝의 변화와 성장 과정을 연도별로 보여준다.

이로써 국내 문화유산의 고해상도 이미지 1천500건 이상, 온라인 전시 33건, 박물관 보기 6건이 컬처럴 인스티튜트에 추가됐다. 앞으로 총 1만3천500여 건의 한국 작품이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에 소개된다.

구글은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최초로 촬영된 기가픽셀 작품도 공개했다. 기가픽셀 이미지는 한 이미지당 약 70억 픽셀(화소)로 이뤄져 있다. 기존 육안으로는 관찰할 수 없던 유화의 갈라짐, 섬세한 붓 터치, 큰 그림 속 아주 작은 사람 같이 생생한 묘사까지도 관찰할 수 있다.

기가픽셀로 소개되는 작품은 ▲박수근의 ‘할아버지와 손자’ ▲이우환의 ‘선으로부터’ ▲강익중의 ‘포타슘 펜슬’·‘이충원 호성공신화상’·‘탐라순력도’·‘덕온 공주의 원삼’ 등 총 6점이다.

아울러 국립현대미술관·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재단법인 아름지기·음식디미방·경기도미술관 등 총 6곳이 새롭게 '박물관 보기'를 제공한다. 박물관 보기는 스트리트 뷰를 통해 전 세계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박물관 내부를 실제 다니며 감상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본관 박물관 보기에서는 여러 층에 걸쳐 타워 형태로 설치된 백남준 작가의 '다다익선'을 층을 옮겨가며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음식디미방의 박물관 보기를 이용하면 이문열 작가의 고향이자 소설 '선택'의 배경이 된 경상북도 영양군의 두들마을을 스트리트 뷰를 통해 둘러볼 수 있다.

구글은 국내 파트너 기관을 대상으로 모바일 앱 제작 플랫폼도 지원한다. 별도의 개발 인력이나 예산이 없는 박물관, 미술관도 손쉽게 모바일 앱을 제작해 작품을 전시할 수 있게 돕는다.프로그래밍을 하지 않고도 박물관 고유의 브랜딩을 활용해 앱을 제작할 수 있다.

관련기사

또한 구글은 국내 파트너들이 컬처럴 인스티튜트 내에 업로드된 해당 기관의 콘텐츠를 홈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는 소스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컬처럴 인스티튜트가 제공하는 감상도구와 해설을 파트너 기관의 웹사이트로 옮겨올 수 있다.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아밋 수드 총괄은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의 미션은 세계 문화유산을 전 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게 돕고 다음 세대를 위해 디지털로 보존하는 것”이라며 “구글이 제공하는 기술을 통해 훌륭한 한국의 문화유산을 더욱 널리 알리고, 전 세계인이 한국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폭넓게 감상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