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재해에 드론·로봇 투입한다

기술경쟁력 확보 2017년까지 12조원 시장 형성

일반입력 :2014/12/16 11:49    수정: 2014/12/16 14:30

정부가 과학기술을 재난재해 부문에 접목해 국민들의 안전에 기여하고 대국민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현재 6조원 수준의 매출액을 2017년까지 12조원으로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보고된 ‘과학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재난대응’을 위한 추진 방향은 4단계 전략으로 나뉜다.

우선 안전진단센서를 활용해 재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전략이 제시됐다. 이어 지능형 CCTV를 통해 신속한 초동 대처에 나선다. 재난이 일어나기 전 맞춤형 시물레이션으로 피해를 최소로 줄이는 방안도 동시에 강구된다. 무인기, 로봇 등 재난현장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비까지 적용한다.

안전진단센서의 경우 센서계측기를 이요해 상시감시가 필요하거나 육안점검이 어려운 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재난징후를 사전에 감지한다는 취지다. 현재 국가기반시설 가운데 30년 이상 노후한 시설이 10%에 이르고 10년 후에는 두배를 뛰어넘는다. 안전관리용 계측시스템도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내년부터 노후교량과 급경사지, 노후터널, 지하시설 등으로 센서계측 범위를 확대한다. 지하시설은 싱크홀 사고 방지에도 적용된다.

지능형 CCTV는 사람 눈으로 놓칠 수 있는 기존 한계를 벗어나 영상 데이터 내에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분석하는 수준까지 끌어올린다. 지난 2009년 구축된 재난영상정보 통합시스템이 영상정보만 제공하는 점을 개선하겠다는 것.

지능형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탑재를 통한 재난감지의 단계적 확대에 나서고, 카메라 화질도 대폭 강화한다. 재난상황에 무인비행기를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된다. 항법장비와 비행제어 컴퓨터를 내장한 무인 비행체를 원격으로 조정한다. 접근이 어려운 재난 현장에 효율적이과 과학적인 조사와 재난상황 관리의 중책을 맡는 셈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당장 상용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신속한 자료처리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원천기술 개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이 재난 대응에 핵심적인 수단으로 부각되면서 국가 사회적 책무 이행에 대한 국민 요구가 늘어나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