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력운영 두뇌 ‘EMS’ 국산화 성공

세계 5번째 자체기술 상용화

일반입력 :2014/11/23 16:28    수정: 2014/11/24 07:45

국가 전체 전력계통을 움직이는 두뇌 역할을 하는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의 국산화가 이뤄졌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순수 우리 기술로 국가 전력계통을 통합‧제어할 수 있는 상용 전력계통운영시스템을 자체 기술로 개발한 세계 5번째 국가가 됐다.

미래창조과학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이상천) 산하 전기전문 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원장 박경엽, KERI)은 최근 개발 완료한 상용 차세대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 발전응용프로그램이 전력거래소에 성공리에 구축되고, 계통운영에 본격 적용됨으로써 차세대 EMS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지난달 6일 한국전력거래소 나주본사에서 한전KDN, LS산전 등 관련사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기존 해외 제작사의 계통운영시스템을 대체해 국산화한 차세대 EMS를 실제 계통운영에 성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국산 EMS 개발에 성공했다.

이어 지난 6일 한국전력거래소 천안 후비급전소에서도 기존 EMS 대신 새로 개발된 차세대 EMS로 계통 운영을 전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을 차세대 EMS 만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상용 EMS 개발과 구축 성공은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5번째다.이번에 구축된 차세대 EMS는 전력공급을 24시간 계획, 실시간 운영 및 관리하는 전력관제센터용 EMS다. 특히, 최적화 기능을 고도화해 전력공급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립함에 따라 차세대 EMS는 전력수급 안정과 대규모 전력계통의 안정 운영, 대정전방지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 가운데 한국전기연구원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차세대 EMS 발전응용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발전기 및 송전계통의 경제적 안정적 통합관제를 위한 ▲자동발전제어 ▲경제급전 ▲안전제약 경제급전 ▲수요예측 ▲예비력감시 ▲발전비용계산 등이며, 계통운영 최적화를 위한 ▲최적조류계산 ▲발전기 기동정지계획 ▲안전도개선 등이다.

박경엽 한국전기연구원장은 “국가 전력계통은 인간이 개발한 시스템 중에서 가장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 중의 하나”라며 “지금까지 하드웨어 중심이었던 전력분야 연구개발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판을 크게 바꾸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