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이차전지 국내 인증기관 설립 '시급'

"국내 인증기관 및 시험설비 턱 없이 부족, 외국에 종속 우려"

일반입력 :2014/11/11 17:46

김다정 기자

국내에 중대형 이차전지 시험소를 구축하고 평가인증 인프라를 갖춰 정부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는 삼성SDI와 LG화학 등 세계적 기술력을 가진 국내 기업이 중소형에 이어 중대형 이차전지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를 시험 인증하는 인프라 구축이 취약해 외국시험 인증 기관에 종속될 우려 때문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시을)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대형 이차전지 인증종속 예방을 위한 이차전지 시험소 구축 토론회'를 열고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인증 시험소 구축에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토론회에는 배성용 삼성SDI 에너지저장장치(ESS) 국내 및 중국 영업총괄 부장과 이용득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기전자본부 본부장이 발제를 맡았고 노대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패널로는 강혁기 산업부 전자전기과 과장, 진창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박사, 엄승욱 한국전기연구원 전지팀 박사가 참석했다.

박완주 의원은 현재 독일의 평가인증기관인 TUV-SUD가 경기도 수원에 성능시험소를 열고 운영에 들어간 상태라며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시험소가 전무하며 평가인증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사이 외국 기관에 중대형 이차전지 인증 종속이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중대형 이차전지 시험 인증 기관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실제 산업현장에서 평가인증 인프라가 없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 삼성SDI 배성용 부장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중대형 전지에 대한 표준이 정립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표준화가 절실하다며 인증 관련 가장 어려운 점은 하나의 인증을 받는데에만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드는데 고객사는 하나의 통일된 인증만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하나의 시험인증 기관에서 인증을 받아도 고객사에서 다른 인증기관의 인증을 원하면 또 다른 인증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한 제품에만 수십가지의 인증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 하나의 인증을 받는데에만 3개월 가량의 시간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고 설명했다.

배 부장은 인증 규격이 표준화 되지 않다 보니 국내 판매할 때 받아야 하는 인증이 따로 있고 일본, 미국, 중국 등 각국에 따라 다른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기업 입장에서는 이 부분이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에는 메가 단위의 높은 전력을 저장한 중대형 이차전지를 시험 인증할 장비가 없어 제품을 만든 후 비행기나 배를 이용해 해외 시험 인증 기관에 보내 인증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이용득 본부장은 현재 국내 시험 인증 기관은 모든 면에서 해외 기관에 비해 열세인 것이 사실이라며 한국전지산업협회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시험인증 평가를 시행하고 있지만 턱 없이 부족하다고 국내 인증 실태를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올해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충남 천안 테크노파크 부지내에 중대형 이차전지 시험 평가소를 구축하고 있다며 충남지역을 이차전지 허브로 구축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진창수 박사는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시험 인증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축한 인증 기관이 인증 권위를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해봐야 한다며 지금 우리 기업들이 외국기관에 인증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국내 인프라가 부족해서이기도 하지만 외국기관들이 인증에 대한 글로벌 권위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인증 기관 권위의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했다.

이 밖에 토론에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 인증 기관에 인증 시험을 맡기면서 국내 기업의 앞선 기술이 해외로 유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시됐지만 이에 대해 배성용 부장은 실제 그런 사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