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는 스마트홈 산업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왔던 표준화의 공동 추진, 적용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 제조사 별로 다른 방식의 프로토콜 적용으로 제품을 교체할 경우 스마트홈 서비스가 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해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산업 활성화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표준화가 완료된 유선 기반의 스마트홈 표준 서비스 프로토콜 13종에 대해서는 표준이행추진단을 구성하고 이행 점검을 통해 내년 6월까지 실제 제품 적용을 완료할 예정이다.
유선 스마트홈 표준은 RS485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추진해 표준화는 완료했으나 제품 적용은 각 사의 프로토콜 방식을 고수해 왔다.
협회는 RS485 통신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월패드, 홈게이트웨이와 제어 기기 간의 통신규격과 메시지 기본 포맷, 상호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의결했다.
메시지포맷구조는 기본 패킷길이는 7바이트로 하고 최대 패킷길이는 16바이트(7 + 9 바이트)로 하기로 했다. 최대등록 가능한 기기 수는 255개다.
합의에 따라 신축 공동주택 위주로 적용되고 있는 유선 스마트홈 표준 적용이 완료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도어락, 보일러, 전등, 시스템에어컨, 가스밸브, 원격검침시스템 등을 교체해도 서비스를 유지, 개선하는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아울러 무선기반의 스마트홈 표준도 내년 8월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2016년 5월까지 실제 제품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홈 플랫폼 연동규격 표준의 경우 가전, 통신, 스마트홈 업체들 간의 조율을 거쳐 내년 말까지 버전1.0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협회에서는 가전사 및 통신사업자 임원으로 구성된 스마트홈플랫폼협의회를 구성, 운영할 예정으로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협회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회원사는 회장사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LG전자, KT, 삼성SDS, 경동원, 코콤, 코맥스, 현대통신, 레이디오펄스 등 가전, 통신, 홈네트워크 업체와 한국LH공사, 삼성물산 등 건설업체도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 구글 네스트, 스마트홈 업체 또 M&A2014.11.10
- 中샤오미, 이번엔 스마트홈 시장 출사표2014.11.10
- “스마트홈-스마트TV 협력, 시너지 내자”2014.11.10
- 한국 vs 유럽, 스마트홈 경쟁 본격화2014.11.10
홍원표 스마트홈산업협히 회장(삼성전자 사장)은 “플랫폼 분야는 글로벌 업체들이 컨소시엄(OIC, 올신얼라이언스 등)을 구성하는 등 표준 선점을 위해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이번에 업계 주도의 공동 표준화 추진과 적용 합의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IT시장의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홈 시장은 올해 49조원에서 오는 2019년 114조원으로 연평균 1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