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스마트폰을 업무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 도입이 추진된다.
안전행정부는 최근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을 통해 '모바일 전자정부 공통기반 가상화 적용 시범사업' 안내서를 공개하고, 금주 내에 사업자 모집 공고를 낼 계획이다. 준비상황에 따라 이르면 내년 초부터 정부기관들이 해당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5일 안행부 스마트서비스과 정대성 서기관은 공무원들이 비업무용 유료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업무용으로 선호하는 앱들이라고 해도 보안검증을 받지 않고서는 쓸 수 없었기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런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2011년 개발을 시작해 2012년 12월 국가사이버안전센터로부터 보안적합성검증을 받은 '모바일 전자정부 공통기반'은 지난해 4월부터 정부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정 서기관에 따르면 현재 50여개 기관, 120여개 서비스가 스마트폰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는 기본적으로 '화이트리스트'를 기반으로 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쉽게 말하면 개인 스마트폰을 업무용으로도 활용할 때 사전에 허가받은 앱만 쓸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카카오톡, 라인, 밴드 등 앱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돼 있어서 쓰는데 불편함이 없지만 이밖에 목록에 없는 앱들은 따로 검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최소 일주일 이상 시간이 필요하다.
안행부는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면서도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용 앱을 스마트폰 내 별도 가상머신(VM)을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물론 이렇게 하면 개인용 앱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어진다.
관련기사
- 블랙베리 쿼티 스마트폰 '패스포트' 공개2014.09.15
- 안드로이드에 삼성 녹스를 통합한 이유2014.09.15
- 삼성 녹스, 국내 모바일 보안 시장 본격 노크2014.09.15
- MS, 모바일기기 통합관리 솔루션 출시 예고2014.09.15
현재 국내 모바일 가상화 기술은 삼성전자 '녹스(KNOX)', 킹스정보통신 '팜박스' 등이 있으며, 해외에서는 레드벤드 '트루 솔루션', 시트릭스 '젠 모바일' 등이 거론되고 있다.
안행부는 아직 올해는 시범사업 수준이라 6천만원 예산을 들여 보안적합성검증을 받기 위한 준비를 마치는 한편,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기관별로 원하는 모바일 가상화 기술을 각 업체들로부터 라이선스받아 쓸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