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전국 90%에 기가인터넷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갖고 사업자들을 독려하고 있지만 이 같은 목표치가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3월말 현재 각 가정까지 100M급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FTTH(Fiber to the Home) 가입자는 초고속인터넷 전체 가입자 1천885만명의 28% 수준인 530만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M~50M급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xDSL과 HFC(광동축케이블) 가입자가 각각 177만(9.4%), 472만명(25%)에 달해 당초 정부의 목표치대로 기가인터넷망 보급이 이뤄지기는 여의치 않아 보인다. 또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는 아파트 중심의 LAN 가입자도 705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 유인책이 없다
기가인터넷이 구축되면 이론적으로는 100M급의 서비스보다 속도가 10배 빨라져 HD급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분40초에서 10초로 줄어든다.
하지만 초고속인터넷 시장의 트렌드가 사업자 간 ‘ADSL→VDSL→광랜→FTTH’로 네트워크를 고도화시키며 속도경쟁을 펼치던 성장‧성숙기를 지나 완전 포화된 시장으로 접어들면서, 투자 유인책이 없어 기가인터넷으로의 진화는 쉽지 않다.
특히, 초고속인터넷 사업자들의 가입자 유치 전략이 ‘속도경쟁’에서 초고속인터넷-집전화-방송을 묶은 ‘결합상품’으로 옮겨간 것도 기가인터넷 보급의 걸림돌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자들이 네트워크에 대규모의 투자를 하기 위해선 신규 수익창출이 전제돼야 하는데 현재 상태에서 기가인터넷으로 진화한다 해도 수익이 달라지지 않는다”며 “현재 초고속인터넷 시장이 기가인터넷으로 바뀌었다고 요금을 크게 올릴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초고속인터넷에 대한 투자유인이 적은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기가인터넷은 단순히 속도가 빨라지는 측면보다도 대역폭을 넓혀 대용량 멀티미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네트워크를 지능형으로 변화시킨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UHD, 기가인터넷 킬러콘텐츠 역할 할까
정부는 기가인터넷 보급‧확산을 위해 ▲초고화질(UHD) IPTV ▲UHD 무안경 3D 디지털 사이니지 ▲테라 클라우드 서비스 ▲유·무선 기가홈 콘텐츠 서비스 ▲실시간 풀HD 의료상담 서비스 등의 응용서비스 발굴에 나서고 있다. 또 내달 6일까지 ‘기가인터넷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고 응용서비스 발굴에 매진 중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이 기가인터넷 보급과 확산에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지는 미지수다.
2G→3G→4G LTE로 이어지는 무선인터넷의 진화와 더불어 스마트폰이 크게 확산되면서 유선 기반의 서비스가 모바일로 옮겨가고 있고, 이와 함께 전 산업 분야가 웹에서 모바일 비즈니스로 전환되고 있는 까닭에서다.
아울러, 미디어 환경 역시 거실에서 온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가구 단위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이용하는 개인화가 급속히 이뤄지고 있는 탓에 통신서비스 역시 유선보다는 무선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추세다.
관련기사
- 기가인터넷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내달 9일 마감2014.05.14
- 10배 빠른 기가인터넷, 어디까지 왔나2014.05.14
- “기가인터넷 구축, 제도 지원책 마련해야”2014.05.14
- 미래부, 2017년까지 기가인터넷 전국 90% 구축2014.05.14
한 업계 관계자는 “기가인터넷의 대표적 킬러 콘텐츠로 꼽히는 UHD 서비스 역시 기존 초고속인터넷망에서도 제공이 가능하다”며 “사업자 입장에서는 현재의 네트워크에서도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굳이 기가인터넷망으로 업그레이드해 제공할 이유가 없다”고 부정적 의견을 내놨다.
따라서 향후 기가인터넷의 보급‧확산은 사업자가 얼마나 유용한 응용서비스와 킬러콘텐츠를 발굴해 내느냐의 여부로 갈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