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꺼진 화면에 손가락으로 곡선을 그리는 방식의 잠금해제 기술을 확보했다. 지문인식에 대항할 카드일지 주목된다.
13일 특허청이 운영하는 특허정보 사이트 키프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2년 9월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출원번호 10-2012-0097132)를 출원했다.

구상도를 보면 꺼져 있는 스마트폰 화면에 손가락으로 가상의 곡선을 그리는 방식이다. 곡선의 교차점이 있는지 여부와 있을 시 몇 개인지를 판단해 잠금을 해제한다. 교차점 개수에 따라 홈 화면 진입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바로 실행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특허 출원 문서에서 “삼각형, 원 등 어떠한 모양이라도 폐곡면이면 모두 잠금 해제를 위한 조건으로 인식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8월 LG전자는 꺼진 스마트폰 화면을 두드려 켜는 ‘노크온’ 기능을 실제 제품 ‘G2’로 선보였다.
관련기사
- 삼성, 美서 증강현실 키보드 특허 확보2014.03.13
- 삼성, 좌우 구부린 태블릿 미국 특허 확보2014.03.13
- 삼성 ‘핀치투줌’ 대체 기술 美 특허출원2014.03.13
- ‘LG전자 G프로 2’ 노크온 보안, 혁신인가?2014.03.13
지난달에는 ‘G프로2’에 스마트폰을 두드려 잠금해제까지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노크코드’ 기능을 탑재했다.
소니도 최근 공개한 ‘엑스페리아Z2’에 ‘두드려서 깨우기(Tab to wake up)’라는 이름으로 노크온과 비슷한 기능을 탑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