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영업정지에 알뜰폰 업계 '분주'

가입자 모시기 위해 단말기 조달·마케팅 강화

일반입력 :2014/03/03 14:20    수정: 2014/03/04 11:23

알뜰폰(MVNO) 업계가 이동통신 3사 영업정지에 대비해 가입자 끌어모으기 준비에 한창이다. 판매점 리베이트를 올리려는 고민과 단말기 조달에 분주한 모습이다.

3일 미래부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의 시정명령 불이행에 따라 45일에서 최대 135일 영업정지 등의 제재 발표가 임박한 상황이다. 동시에 지난 1월 시작한 방통위의 보조금 조사도 마무리 단계다.

미래부의 제재는 방통위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두 개 통신사 동시 영업정지 제재를 내릴 것으로 보인다. 또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한 곳은 방통위가 지목한 과열 보조금 주도 사업자와 함께 영업정지에 처해지게 된다.

■이통사 두 곳 영업정지, 보조금 경쟁 수월해져

이통사 두 곳이 동시 영업정지에 처해지면 알뜰폰과 남는 한 곳의 이통사만 신규 가입자 모집이 가능해진다.

지난해 이통3사 순환 영업정지나 주도사업자 한 곳의 영업정지 당시에는 알뜰폰 업계가 번호이동 가입자를 끌어모으기가 쉽지 않았다. 제재 기간이 아닌 이통사의 보조금이 늘어나면서 알뜰폰도 가입자를 방어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반면 이통사 중에 한 곳만 영업이 가능할 경우, 이통사끼리 보조금 경쟁이 벌어질 수 없다. 이 경우 알뜰폰 업계가 부담을 느낄 정도의 많은 보조금 투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알뜰폰 업계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저마다 이통사 영업정지 기간을 가입자를 늘릴 기회로 삼고 있다. 지난해 영업정지 당시와 비교해 알뜰폰 인지도가 대폭 올라간 점도 호재로 작용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판매점에 직접 진출한 알뜰폰 사업자의 경우 판매점 리베이트 단가표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단말기를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업계 전체적으로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단말 조달 촉각, CS 부분 확대도 고민

단말기 조달 문제는 굳이 이통사 영업정지가 아니더라도 알뜰폰 업계가 주력해 온 부분이다. 가입자 규모가 큰 이통사와 달리 알뜰폰은 충분한 수량의 단말기를 제때 갖추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단말기 확보가 더욱 시급해진 이유는 살 사람이 있어도 팔 기계가 없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실제 우체국 알뜰폰 인기 상품 일부도 소비자는 몰려드는데 단말기가 없어 판매 증가세를 이어가지 못한 사례도 있다.

관련기사

힘들게 모은 가입 희망자를 놓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단말기 확보는 물론 고객 상담 인력을 일시적으로 확충하는 계획을 고민하는 회사도 생겼다.

해당 회사 관계자는 “가입 상담 전화 문의가 알뜰폰 가입 절차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어느 수준까지 가입자를 끌어모을 수 있을지 파악하긴 어렵지만 상담 인력이 부족한 상황은 피하기 위한 방안을 생각중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