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보다 1천배 빠르다. 영화 한 편 다운로드에 1초면 충분하다.
차세대 통신기술 5G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다. 이미 중국,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도 5G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나섰다. 우리나라는 오는 2018년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후 2020년 세계 최초로 상용서비스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총 5천25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5G전략추진단은 지난 19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전문가 토론회를 열고 ‘세상에서 가장 앞선 5G 모바일 강국’에 대한 비전과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추진단이 제시한 목표는 이동통신 세계최고(단말 1위, 장비 15%),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57만개 창출 등이다. 5G의 특징은 ▲언제나 나와 함께하는 디바이스 ▲무엇을 원하는지 나를 이해하는 서비스 ▲어디서나 나를 따라다니는 네트워크를 꼽았다.
기술적으로는 4가지 목표를 내놨다. 지난 2010년 대비 2020년에는 ‘쿼드러플(4가지) 1천’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①1천배 빠른 전송속도 기술(Mbps→Gbps) ②1천배 많은 디바이스 수용기술 ③1천배 에너지 효율 기술구현 ④1천분의 1초로 서비스 지연단축 기술 등이다.
추진단은 오는 2015년 12월 근접 SNS서비스(나를 이해하는 서비스)를 특징으로 하는 프리(Pre) 5G를 시연할 계획이다. 또 2017년 12월에는 모바일 초다시점 단말, 개인클라우드, 고속 그룹이동체를 구현한 시범서비스 시작, 오는 2020년 12월에 홀로그램 모바일TV를 제공하는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중점을 둔 것이 도전적 연구개발(R&D) 추진이다. 5G 원천선도형 기술개발 및 시장창출 활성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주요국과 공조체계를 마련해 ITU-R에서 5G 표준화 사전 단계에 공동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5G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점에 충분한 주파수를 확보하는 것도 핵심이다. 이미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은 현재 이동통신용 500MHz 폭의 주파수를 오는 2020년까지 1천MHz 폭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운 상태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발표한 모바일 광개토플랜 2.0에서 오는 2023년까지 1천MHz 폭을 추가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당초 플랜 1.0에서는 오는 2020년 트래픽이 지난 2011년 대비 1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현재는 23배로 폭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해 6GHz 초고주파 대역 추가 발굴, 적합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추진단은 5G 선도를 위해 산학연의 협력을 강화해 스마트모바일 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전략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산학연이 참여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5G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 중견기업 등이 해외진출을 할 수 있도록 KOTRA 등을 활용한 원스톱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중소, 중견기업에 국가 5G R&D 참여를 밀착지원하고 국내 기업을 위한 조기 5G 제품, 서비스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 5G 데이터 트래픽, LTE의 1천400배?2013.12.20
- 한-중, '5G 기술개발' 손 잡는다2013.12.20
- 韓, 5G 글로벌 패권 잡을 전략은?2013.12.20
- 영화 한편 1초...정부 5G 기술 개발 선도2013.12.20
5G 예산은 기술개발, 표준화 및 국제협력, 기반조성 등에 오는 2020년까지 총 5천250억원을 투입한다. 다만 예산은 부처 및 예산 당국과 협의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예비 타당성 검증을 통한 추가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세계적 기술력 확보를 통한 5G 선진 모델 창출 국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기업이 5G 디바이스, 기지국 장비 생산, 서비스 제공에 따라 오는 2026년 총 141조원의 막대한 시장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