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데이노트' 정체...안드로이드 전자책?

일반입력 :2013/08/13 13:31    수정: 2013/08/13 19:28

삼성전자가 3년 반 넘게 중단된 전자책 단말기 사업을 재개한다는 소문에 휩싸였다. 최근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상표명 때문인데, 회사의 과거 행보를 짚어 보면 당장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26일 '데이노트(DAYNOTE)'라는 상표를 출원했다. 이를 먼저 알린 판드로이드 등 영미권 블로그 사이트에서는 해당 상표가 삼성전자가 아마존의 킨들 시리즈를 겨냥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전자(e)잉크' 디스플레이 탑재 기기를 위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즉 전자책 단말기를 낼 거란 짐작이다.

삼성전자가 해당 상표를 실제로 활용하기 위해 출원했다면 어떤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명칭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해당 상표가 전자책 단말기 제품에 쓰일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 이는 특허청에 등록된 데이노트의 상표 설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일단 '09'로 시작하는 상품코드는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가리킨다.

상표 설명에는 지정상품(상품코드)으로 디지털카메라(0900144), 축전지 충전기(0900723), 텔레비전 수신기(0900910), 휴대폰(0901039), 태블릿 컴퓨터(0901187), 스마트폰(0901358) 등이 언급됐다. 여기 PMP, 기록된컴퓨터프로그램·SW, 충전 가능한 전지, 태블릿컴퓨터용 액세서리들(09)도 포함됐다.

이 설명에 제시된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TV수신기 등 제품은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컬러 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해야 한다. 그런데 앞서 상용화된 전자책 전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들은 대부분 흑백이다. 컬러를 표현하는 e잉크 기술이 존재하지만, 표현 속도 등 제약으로 일반 LCD만큼 활용이 어렵다.

글로벌 전자책 업계 거물 아마존도 자사가 유통하는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해 흑백 e잉크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주력했다. 지난 2007년 아마존 '킨들' 1세대 이후 주요 모델들은 당연히 흑백 화면만을 표시했다. 그러다 지난 2011년 9월 등장한 '킨들파이어'가 IPS LCD 패널을 탑재해 컬러 화면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 삼성전자가 아마존을 뛰어넘는 e잉크 디스플레이 기술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 최근까지 드러난 사실만 놓고 보면 삼성전자의 전자책 단말기 기술과 제품 명맥은 끊긴 지 오래다. 회사는 몇년간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기기와 이를 위한 OLED 디스플레이 기술에 집중해왔다.

■삼성전자, 전자책 사업 포기 아니었나

삼성전자가 실제로 전자책 단말기를 낼 계획이라면 만 3년 반만의 '재도전'인데, 느닷없이 전자책 단말기를 낸다는 짐작은 정황상 무리한 추정이다. 회사는 2009년, 2010년 신제품 출시 이후 2011년 관련 디스플레이 기술 업체 인수 등 투자도 했지만 이후 제품을 더 내놓진 않았고 사들인 기술업체도 아마존에 되팔았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9년 CES에서 회사 최초의 e잉크 디스플레이 단말기 '파피루스(SNE50/60K)'를 공개했다. 그해 6월에는 국내서 교보문고와 제휴한 콘텐츠, 중앙일보 및 한국경제와 제휴한 뉴스 서비스를 담아 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콘텐츠 부족 등 문제가 드러나면서 성과는 좋지 않았다.

회사는 2010년에도 CES에서 전년도 실패를 만회할 e잉크 단말기 제품을 냈다. 6인치 모델(E6)과 10인치 모델(E101)이었다. 전작 파피루스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펜 형태의 도구를 써 터치스크린 화면을 조작할 수 있었다. 무선랜과 블루투스 지원 기능이 주요 변화로 꼽혔지만 가격 문제 등으로 역시 시장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 뒤 회사는 2011년 1월 전자(e)종이 디스플레이 전문기술을 보유한 네덜란드 업체 '리쿠아비스타'를 사들였다. 리쿠아비스타는 전자업체 필립스에서 지난 2006년 분사한 곳으로, 전기습윤디스플레이(EWD)라는 LCD 기술을 보유했다. 당시 관련 업계는 삼성전자가 리쿠아비스타 인수로 LCD 기술 확보에 나선 것으로 평가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컬러 e잉크 디스플레이를 개발 후 디지털 신문과 잡지 판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지만, 이후 성공을 거둔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태블릿에 주력하면서 전자책 사업 계획은 재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리쿠아비스타를 지난 5월21일 아마존에 1억달러 미만 가격으로 되팔 때까지 전자책 단말기 후속 제품을 내지 않았다. 회사의 리쿠아비스타 매각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 집중하고 있는 정황상 불필요한 기술을 정리하는 수순으로 평가됐다.

■갤럭시 시리즈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일 가능성

설령 회사가 전자책 기기를 낼 경우 그 제품을 위한 소프트웨어(SW)로도 안드로이드가 유력한데, 그럴 바엔 갤럭시 시리즈에 집중하는 게 낫다는 지적이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e잉크 단말기는 2009년 이후 알렉스e리더, 엔터리지 엣지(eDGe), 반즈앤노블 심플터치 글로라이트 등이 있는데 모두 시장에서 실패했다.

삼성전자 측은 의문의 상표명 '데이노트'의 정체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어 전자책 단말기 제품명일 거란 소문의 진위 여부를 가리긴 어렵다. 회사가 출시를 앞둔 모바일 기기 제품과의 연관성을 짐작해 보는 정도다.

1차적으로 상표명과 연관지을 수 있는 제품은 다음달 4일 독일에서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는 갤럭시노트3다. 갤럭시노트3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펜 입력도구(S펜)를 함께 활용하는 시리즈 특성을 이어갈 것으로 점쳐진다. 펜 입력 도구를 통한 조작은 삼성전자의 초기 전자책 단말기 특성과도 맞닿아 있다.

다만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와 과거 전자책 단말기의 연관성은 거기까지다. 데이노트가 갤럭시노트3와 함께 소개될 별도의 제품으로 등장하리란 기대를 높일만한 근거가 부족하다. 데이노트를 갤럭시노트3의 정식명칭으로 보기도 힘들다. 노트1과 2 모델의 전례를 볼 때 갤럭시노트3의 상표 출원 시점은 다음달초로 예상된다.

일설에 따르면 데이노트는 별도 단말기가 아니라 갤럭시노트3에 새롭게 탑재될 전자책 콘텐츠 또는 기록용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짐작되기도 한다. 앞서 삼성전자가 '삼성허브', '뮤직허브', '리더스허브', '스마트허브' 등 제품에 탑재한 서비스와 앱의 상표를 출원한 전례가 있는 만큼 어느정도 기대할만한 추정이다.

관련기사

이 경우 데이노트는 전자책 단말기가 아니라 오히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를 중심에 둔 스마트폰 및 태블릿 제품 사업을 위한 촉매로 제시될 것이라 봐야 한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 기반 전자책 콘텐츠 서비스는 새롭지 않은 얘기다.

이미 회사는 리더스허브를 통해 구글플레이 장터의 콘텐츠와 별개로 사용자에게 전자책 콘텐츠를 보여주고 목록을 관리하는 모바일 서재 기능을 구현했다. 연초에는 리더스허브2.0 업데이트를 통해 2011년도의 단순 e북 서비스에서 인터페이스와 카탈로그, 제공 콘텐츠와 사용자간 교류를 강화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