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조금 정책에 디스플레이 업계 촉각

일반입력 :2013/05/05 07:31

정현정 기자

중국 정부가 절전 기준을 충족시키는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보조금 정책의 연장 여부에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세계 TV 시장에서 중국이 ‘큰 손’으로 부상하면서 정부 정책 결정이 디스플레이 패널 수급 상황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지난해 시행한 에너지 절약 보조금 지원정책인 혜민공정(惠民工程)이 이번 달 마무리되는 가운데 이어 새로운 보조금 정책이 등장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에너지 고효율 가전제품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면서 에너지 효율 등급이 1등급이고 대기전력이 0.5W 이하인 액정표시장치(LCD) TV 구매자에게 화면 크기에 따라 최저 100위안(한화 약 1만8천원·32인치 이하)에서 최고 400위안(약 7만2천원·42인치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일단 보조금 정책의 효과는 나름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지난해 5월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연간 판매량 증가가 한 자릿수(7~8%) 수준이었지만 보조금 정책 시행 이후 10월 국경절 기간 동안 연간 대비 증가율은 15%로 다시 두 자릿수로 늘어났다.

특히 올해 초 원단(신정) 기간 동안 TV 판매량이 연간 대비 40% 정도 크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중국 고객사들 애기를 종합하면 (판매량 증가에는) 보조금 정책이 크게 작용했고 패널 가격이 많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국내에서도 중국 정부의 정책 결정에 관심을 가지는 분위기다. 현재 시점에서 제일 관심사는 보조금 정책의 연장 여부다. 수 년째 이어진 대량의 보조금 투입이 시장에 왜곡을 가져온다는 비판에 소비진작 효과에도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소비진작 차원에서 현재 시행되는 보조금 정책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해외 기업들보다는 현지 기업들에 혜택이 집중되고 보조금 지급 기준 역시 기존에 비해 까다로워지면서 보조금을 지급받는 제품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병수 LG디스플레이 전략마케팅그룹장(상무)는 최근 1분기 실적설명회에서 “최근 경기진작이 뎌디기 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장이 될 확률이 높다고 보고 있다”면서 “실질적으로 정부 지원에 의해 각 세트 업체들이 지원금을 수혜를 받고 소비진작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보조금 정책 연장 여부를 두고 현지 기업은 물론 국내 기업들도 상황을 주시하는 모양새다. 특히 현재 시행되는 보조금 정책이 종료된 후 언제 어떤 식으로 재개될 지 모르는 상황에서 현지 고객사들의 패널 구매가 주춤하면서 지난 1분기 국내 패널사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정책이 발표되고 나면 그 기준에 가장 유리한 제품으로 구매를 해야하는데 아직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면서 “보조금 정책 종료를 앞두고 때문에 소비가 많이 이뤄질 것 같다는 전망에서 중국 업체들이 물량을 비축하면서 지난해 부터 중국 시장에서 재고 이슈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내수촉진을 위해 지난 2008년부터 농촌지역 주민들에게 가전제품을 지원하는 ‘가전하향(家電下鄕)’과 중고가전을 신형으로 교환하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구환신(以舊換新)’ 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왔다. 이 결과 중국 시장에서 LCD TV 보급률이 궤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