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김희정 “인터넷 성인광고 특단책 필요”

일반입력 :2012/10/09 18:47    수정: 2012/10/10 08:45

전하나 기자

인터넷에 가장 많이 게재되는 성인물 광고 유형은 성기능 보조기구와 관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김희정 의원(새누리당)은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터넷 상 성인물 광고건수를 조사해보니 성기능 보조기구, 비뇨기과, 건강보조, 성기능 개선용품, 성형외과 순이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성범죄가 계속 급증하면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문제제기와 관심이 늘었지만, 별도의 성인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그대로 노출돼 볼 수 있는 인터넷 신문 내 성인물 광고에 대한 뾰족한 규제는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김희정 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인터넷신문 청소년유해광고 유통현황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지면에 유해성 광고를 포함한 언론사는 2011년 62곳에서 올해 176 곳으로 3배 가까이 크게 늘어났다.

이에 김 의원은 “2011년 인터넷·모바일 광고 예산 5억5천만원 중 인터넷 불법·유해 광고 사전 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가장 많은 3억원을 썼으나 실효성은 미미한 수준”이라며 “많이 보이는 광고주 유형에 따라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정립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또 “인터넷 광고 관련해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심의위원회 등도 관여하고 있지만 방통위가 주무부처로 입장을 확고히 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이계철 방통위원장은 “주신 말씀에 공감하고 책임있게 이행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