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ICT’ KT-연세의료원, 후헬스케어 출범

일반입력 :2012/07/25 14:16

정윤희 기자

KT(대표 이석채)는 연세대학교의료원과 손잡고 의료-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사업 전문 합작회사 ‘후헬스케어(H∞H Healthcare)’를 출범했다고 25일 밝혔다.

‘후헬스케어’는 건강(Health)을 통해 인간(Human)에게 무한한(∞) 가치를 준다는 의미를 담았다. 이를 통해 ICT를 통한 효율적이고 편리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체질에 따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로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언제 어디서나 케어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등 요람에서 무덤까지 토탈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는 국내 중소형 병원대상 병원정보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으로 ‘스마트 의료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한 경영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 모색과 함께 상시 건강점검 및 관리 시스템 사업인 유-웰니스(u-Wellness)도 구상하고 있으며, 오는 2016년까지 누적매출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후헬스케어의 초기 자본금은 10억 원 규모다. KT가 49%, 연세의료원이 51%를 투자했다. 이사회는 총 5명으로 KT가 최고사업책임자(CBO) 포함 2명, 연세의료원이 CEO 포함 3명이다.

대표 이사에는 세브란스 사무처장을 맡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규호 교수가 임명됐다. CBO에는 이영탁 KT 상무가 임명돼 KT의 ICT 역량과 연세의료원의 의료 기술을 사업화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신설되는 합작법인은 서대문구 대신동에 자리 잡았다.

이상훈 KT G&E부문 사장은 “KT는 스마트 컨버전스 시대의 주역으로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ICT 융합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후헬스케어를 통해 KT의 정보통신 기술력과 연세의료원의 선진 의료기술을 접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ICT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규호 후헬스케어 대표는 “의료와 ICT의 융합으로 인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사회적 비용 감소 및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일조 할 것“이라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경쟁력 있는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 보급을 통한 네트워크 병원의 구축을 통해 의료 품질 향상을 가져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 연세의료원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의료에 IT 기술을 접목시킨 융합형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 후헬스케어가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미래형 헬스케어 산업 분야를 선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