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비즈니스?…돈 되는 비법 공개

일반입력 :2012/06/14 08:42    수정: 2012/06/15 11:33

김태정 기자

진화하는 모바일 플랫폼 시장 주도권의 주인은 누구인가?

스마트폰을 열기를 타고 온 모바일 플랫폼 개발 경쟁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 대기업부터 중소, 중견기업, IT가 아닌 이종기업들까지 모바일 정복을 외친다.

일부에서는 아직 뜬 구름이라고, 또 다른 누군가는 대박 수익이 훤히 보인다고 말하는 모바일 플랫폼. IT 업계 리더들은 각기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웠다.

특히 본격적인 LTE 시대가 열리고, 스마트폰 사양도 지난해와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발전하면서 모바일 플랫폼 전략을 어떻게 수정할지, 비법에 관심이 모였다.이런 가운데 메가뉴스 지디넷코리아는 오는 2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 3층 크리스탈볼룸서 ‘모바일 퍼스트 시대, 생태계와 비즈니스 플랫폼 전망’을 주제로 ‘제7회 CVISION’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컨퍼런스 핵심 내용은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한 수익 창출 전략이다. 쉽게 말하면 모바일 플랫폼의 고수들이 나와 어떻게 수익을 만들 것인지를 소개한다.

발표진은 국내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현장을 직접 지휘하고 신사업을 만들어 온 업계 리더들이다.

첫 키노트는 이현규 KT통합플랫폼개발본부 상무가 ‘모바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통신사의 오픈플랫폼 추진방향’을 주제로 진행한다. 이동통신 업계의 화두인 오픈플랫폼의 실체를 설명할 예정이다.

두 번째 키노트는 이해성 LG유플러스 응용서비스개발담당의 ‘LG U+ 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 개발 방향’이다. 플랫폼 기반의 신규 통신 서비스 개발을 주제로 한 심도 있는 설명이 기대된다.

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모바일 부문장은 세 번째 키노트로 ‘스마트TV 시장의 기회와 다음TV 전략’을 설명한다. 근래 화제인 다음TV의 방향성과 구체적인 개발 스토리에 관심이 모였다.

관련기사

오후에도 에버노트, LG에릭슨, SK텔레콤, 케이큐브벤처스, 로아컨설팅, 마이크로소프트, 카카오, 돌비, LG경제연구원, NHN, KEIT, 교보문고, 인피데스 등의 현장 이야기가 준비돼 있다.

행사는 유료로 진행되며 참가신청은 홈페이지에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