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M, 작년 영업익 768억…전년比 27%↑

일반입력 :2012/02/15 16:42    수정: 2012/02/15 16:57

정현정 기자

CJ E&M(대표 김성수)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768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방송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무려 140%나 증가하면서 게임, 영화, 음악·공연 등 다른 사업부문의 부진을 만회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1조2천792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늘었다. 이는 지난해 1월1일 합병을 가정해 집계한 수치다. 지난해 3월1일 법인 출범 이후 연말까지 10개월 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1천431억원과 701억원을 기록했다.

각 사업부문별 매출은 방송부문 6천760억원, 게임부문 2천576억원, 영화부문 1천914억원, 음악·공연부문 1천542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방송부문은 ‘코리아갓탤런트’, ‘슈퍼스타K3’ 등 가구시청률 2% 이상 앵커프로그램 증가에 따른 프리미엄 광고 패키지 판매와 ‘로맨스가 필요해’ 등 콘텐츠 판매 증가, 수신료 매출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대비 23%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전년대비 140% 상승한 44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종합오락채널인 tvN 매출은 2009년 503억원에서 2010년 815억원, 지난해 1천130억원으로 연평균 50% 안팎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tvN은 가구시청률 3% 이상으로 동시간대 케이블 시청률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코미디빅리그’와 ‘새터데이나이트라이브코리아’, ‘오페라스타’ 등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영화부문 역시 ‘트랜스포머3’, ‘미션임파서블4’ 등 해외 대작과 ‘써니’, ‘완득이’, ‘도가니’ 등 한국영화의 흥행 및 부가판권 수익 증가로 전년대비 매출이 38% 늘었다. 하지만 ‘마이웨이’ 등 대작 영화의 흥행 부진 및 애니메이션 팀 신설 등 신규사업 관련 비용이 늘면서 영업이익은 32% 감소한 50억원을 기록했다.

음악·공연부문의 경우 ‘지킬앤하이드’, ‘아가씨와 건달들’ 등 뮤지컬과 ‘2PM’, ‘M-Live’와 같은 국내외 콘서트 확대에 힘입어 전년대비 매출이 8% 증가했다. 하지만 음악사업의 매출 비중 감소와 글로벌 콘서트 초기 진출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7% 감소한 5억원에 그쳤다.

게임부문은 ‘서든어택’ 계약 조건 변경에 따른 매출 감소에 영향을 받아 전년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 18% 줄어들었다.

CJ E&M은 올해 중점 추진 전략으로 방송부문에서 지난해 4편이었던 앵커프로그램을 올해 21편까지 확대해 광고 매출을 늘리고 드라마 제작도 확대해 콘텐츠 판매 증가를 중심으로 성장을 견인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게임부문은 자체제작 라인업을 지난해 8개에서 올해 6개를 추가해 14개로 확대하고 모바일 게임도 ‘카오스베인’ 등 15종을 출시하면서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영화부문도 국내 기획제작 라인업을 7편까지 확대하는 한편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음악·공연부문 역시 ‘슈퍼스타K’ 등 E&M 콘텐츠와 연계된 자체 음반 및 음원 제작을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