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5분의 1 두께 태양전지 등장

일반입력 :2012/02/07 10:39

손경호 기자

사람 머리카락의 5분의 1 정도 크기의 태양전지가 등장했다. 이를 이용하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나 박막태양전지에 비해 훨씬 싼 가격에 고효율 태양전지를 공급할 수 있다고 개발사측은 밝혔다.

美씨넷은 6일(현지시간) 태양전지 벤처기업인 알타 디바이스가 갈륨-비소(GaAs)를 소재로 1미크론 이하의 태양전지를 구현했다고 보도했다. 사람 머리카락이 40미크론에서 50미크론인 것을 고려하면 4분의 1에서 5분의 1 수준의 얇은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대학 연구팀이 차린 이 회사는 미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로부터 이 같은 효율성을 인정받아 상업화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햇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효율 역시 23.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씨넷에 따르면 갈륨-비소 태양전지는 그동안 인공위성 등에 사용되는 고집적 태양광 수집기에 주로 사용돼왔다. 그러나 컴퓨터용 반도체를 만들 때 사용되는 고품질의 웨이퍼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알타 디바이스가 개발한 것은 이 태양전지를 얇고 값싸게 구현하는 기술이다.

웨이퍼 기판 위에 태양전지를 만드는 에피성장 방식을 개선하고 웨이퍼 위에 결정질층을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크리스토퍼 노리스 알타 디바이스 사장은 “우리의 목표는 값비싼 태양광패널 가격에 따른 정부보조금 없이도 화석연료에 버금가는 에너지 효율성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씨넷은 전했다.

이 회사의 기술은 지난해 여름 태양전지 컨퍼런스를 통해 기술백서가 소개되면서 알려졌다. 당시 이 회사는 앞으로 28%까지 광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는 20%, 박막 카드뮴 텔루라이드, CIGS 태양전지는 12% 효율에 근접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