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컨버전스로 탄생한 아이폰·아이패드 혁명은 인터넷 검색 기반의 광고 수익으로 제국을 유지하고 있는 구글 입장에서 보면 많은 생각을 하게 했을 것이다. 특히 점점 조직이 비대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매출과 수익원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보면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이러한 고민의 결과가 결국 ‘구글(안드로이드/서비스) + 모토로라(하드웨어)’라는 조합을 나았고 이후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의 3대 컨버전스를 통해 구글은 새로운 디바이스나 기존 디바이스의 개별 버전을 생산하게 될 것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의 워키토키 무전기를 생산하고, 70년 최초로 상용 휴대전화를 개발한 통신 분야의 전설적인 회사 모토로라를 인수한 것은 구글의 자신감과 의도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MS)의 경우 X박스 게임 콘솔 등을 통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컨버전스라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분야에서 애플, 구글과의 경쟁을 위한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노키아가 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
■HW+SW+서비스 융합...'내제화'와 '플랫폼'으로 완성
그렇다면 이러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컨버전스가 최선의 방법일까? 요즘에는 이러한 컨버전스가 성공을 위한 조합이라고 말하지만, 과거 애플의 경우에도 매킨토시 PC를 비롯해 뉴튼 PDA에 이르기까지 많은 실패 사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분명 다른 점이 있다. ‘내제화’와 ‘플랫폼’이다. 단일화된 HW 라인업과 HW에 최적화된 운영체제, 여기에 강력한 서비스를 내제화하면서 이를 원하는 형태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또한 이 제품의 판매 정책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전략을 취함으로써 경쟁자인 MS나 구글이 갖지 못하는 장점을 극대화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3요소의 컨버전스를 통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궁극적으로는 HW , SW , 서비스를 끊김없이(Seamless) 통합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기존 PC 기반의 인터넷 , TV 기반의 미디어/콘텐츠 , 모바일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나의 새로운 경험기반의 제품으로 만들어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다. 하드웨어적으로 PC, TV, 모바일 디바이스를 단일 운영체제로 묶고 서비스적으로 인터넷 기반 하에 다양한 미디어/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고객을 잡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3 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사할 수 있다. 가령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무상으로 출시하고, 대신 탑재된 서비스나 광고 등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다.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면서 하드웨어를 통해 수익을 낼 수도 있다. 이렇듯 상황에 따라 유연한 비즈니스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3요소의 컨버전스를 위해서는 기존의 PC , TV ,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기존 경험과 생각의 재탄생(혁신)이 필요하다. 가정 내 지식 생산 및 저장 디바이스로서의 PC 는 가족 구성원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홈 클라우드로서 재 탄생시킬 수 있다. 또한 TV는 철저히 스크린으로서 생산된 콘텐츠와 미디어를 공유하는 창(Window)으로 재탄생 시킬 수 있다.
■결국 '사람'이다...인재를 키워라
이러한 생각의 재탄생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먼저 기존 하드웨어의 경쟁력은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짧은 신제품 생산 주기, 가격 경쟁력, 얇고 가벼우며 강력한 해상도 등 경쟁사 대비 월등한 하드웨어 생산 능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확보된 경쟁력은 운영체제 그리고 서비스와 묶여 언제고 재 탄생시킬 수 있는 능력을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하드웨어의 재탄생을 위해서는 강력한 운영체제가 필수적일 수 밖에 없다. 원하는 사양의 다양한 디바이스에서도 작동되며 배터리 제어, 화면 제어 , 손쉬운 개발 및 관리 환경 , 강력한 멀티태스킹 등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확보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운영체제를 내제화해야 한다. 내제화를 위해 오픈소스를 육성하고 필요하다면 운영체제 분야의 유망한 벤처 및 학계 등 외부를 통한 기술 확보 및 혁신이 필요하다.
셋째, 특정 운영체제에 의존하지 않는 서비스를 플랫폼으로 재탄생 시켜야 한다. 서비스도 플랫폼이며 사용자와 생산자를 이어주는 교량으로서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다른 측면으로 서비스가 자체가 하드웨어를 강화해 줄 수 있다. 현실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모든 응용 서비스를 하드웨어에 추가할 수는 없으며, 운영체제에 무조건 신규 기능을 추가할 수도 없다. 실제로 HW와 운영체제에 추가할 경우 기존의 장비 및 운영체제와의 호환성을 위해 펌웨어(Firmware) 및 운영체제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며 수억 대 디바이스들을 대상으로 펌웨어와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막고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서비스이다.
관련기사
- [칼럼]PC는 죽지 않는다. 다만 진화할 뿐이다.2011.09.02
- [칼럼]모바일 동영상 전쟁2011.09.02
- [칼럼]모바일 플랫폼 넘으니 서비스 플랫폼 보인다2011.09.02
- [칼럼]오라클 CEO의 클라우드론에 대한 단상2011.09.02
마지막으로 사람을 재 탄생시켜야 한다. 결국 HW, SW, 서비스는 모두 사람이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이 3개 요소를 혼합하여 재 탄생시키는 것도 사람이다. 사람을 준비하지 못하면 결국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또한 해당 인재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공간과 문화를 제공해야 한다
모두들 애플, 구글, MS가 만들어 가고 있는 새로운 질서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고 나름대로의 대처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아마도 모두 틀린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이야기(plan)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Do)하는 것일 것이다. 결국 실패도 성공을 위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결코 단기간에 망가진 창의의 생태계를 회복할 수 없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