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개선안 발표, 5시간 만에 '백지화'…왜?

일반입력 :2011/04/13 10:45    수정: 2011/04/13 12:55

전하나 기자

잇따른 학생 자살 사태로 아비규환에 빠진 카이스트가 제도개선안을 발표했다가 5시간 만에 백지화해 논란이 일고 있다.

카이스트 측은 "총장에게 보고 되지 않은 임의 자료"라고 해명했으나 정치권 등 일각에서는 "국민과 학생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거세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카이스트는 지난 12일 오후 7시께 학내 포털 사이트에 학부과정 100% 영어강의 축소 등을 뼈대로 한 학사운영 및 교육개선안을 올렸다.

당초 개선안에는 ▲징벌적 수업료 제도 대폭 조정 ▲영어강의 완화 포함, 학부과정 학업부담 20% 완화 ▲평점 2.0 미만 학생들에 대한 학사경고, 입학 후 2학기동안 면제 ▲학생 관련 위원회에만 국한됐던 학생참여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해당 개선안 중 상당 부분은 서 총장이 지난 11일 출석했던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 제출된 내용이다. 그러나 카이스트는 이 같은 개선안이 공지된 후 불과 5시간여만에 '학생들과의 논의를 위해 임의로 작성한 자료일 뿐 공식입장이 아니'라고 말을 바꿨다.

관련기사

카이스트 측은 "총장에게 보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작성된 자료가 외부로 공표됐다"며 "혼동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지만 교과위에 제출된 개선대책 외 추가된 내용 일부에 오류가 있어 명확하게 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카이스트가 국회 질타만 피하기 위해 개선안을 공지했다가 발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학내 구성원들과 카이스트 교수협의회 역시 서 총장 거취에 대한 의견을 수렴키 위해 각각 퇴진 서명 운동 및 온라인 투표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