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AS 정책 국감서 ‘난타’

일반입력 :2010/10/05 16:47    수정: 2010/10/05 17:37

김태정 기자

애플 아이폰 AS(사후서비스) 정책이 국정감사서 난타를 당했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서 의원들은 애플과 KT의 아이폰 AS가 부실하다는 지적을 줄줄이 제기했다.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은 복잡한 아이폰 AS 정책이 매우 복잡해 구체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뜻을 강조했다.

권택기 의원(한나라당)은 “애플은 국내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AS 관련 규정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이범래 의원도 “아이폰은 박스에 붙은 보증서랑 인터넷에 올린 AS규정이 다르다”며 “이 자체가 위반이다”라고 말했다.

공정위 공산품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은 제품 구입 후 10일내 정상적인 상태서 문제가 발생하면 교환 또는 환급이 가능하지만 애플이 이를 무시했다는 것.

애플은 고장제품을 부분수리 대신 다른 제품과 교환해주는 ‘리퍼’ 정책을 수년간 고수, 질타를 받아왔다. 작은 고장에도 불구하고 큰 돈을 들여 제품 자체를 바꿔야하는 데 따른 불편 지적이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아이폰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지난해 4분기 94건에서 올해 1분기 299건, 2분기 491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품질과 AS에 대한 불만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애플과 KT는 최근 국감을 앞두고 아이폰 부분수리를 시작했고, AS 정책을 더 구체적으로 알리라는 방송통신위원회 정책도 따르기로 했다.

이 같은 정책변화에 의원들 반응은 시큰둥했다. 이날 앤드류 서지웍 애플코리아 사장의 불참으로 더 구체적 질의는 없었지만, 오는 21일 공정위 종합감사서 제대로 다루겠다는 뜻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