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타깃 노린 DDoS 공격 늘어

일반입력 :2010/07/02 17:24

이설영 기자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는 7.7 DDoS 대란 1주년에 앞서 올해 상반기 DDoS 공격을 비롯한 보안 위협 동향을 진단하고 대응 전략을 2일 발표했다.

안철수연구소가 올해 상반기 네트워크 보안 위협 및 공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35.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웹사이트 취약점 공격(34.8%)이었다.

DDoS 공격의 양상은 ▲공격 기법의 진화 ▲공격 범위의 확대 ▲대범한 범죄화 ▲사이버 암시장 형성에 따른 대중화를 들 수 있다.

공격 양상은 무작위의 불특정 대상 공격은 감소하고, 특정 타깃을 겨냥한 공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 목표가 성인 채팅 사이트, 중소규모 업체(꽃배달, 펜션 예약 등), 아이템 거래 사이트에서 주요 포털 및 게임, 쇼핑몰,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으로 바뀌었다.

공격 목적의 경우 금전을 노린다는 점은 여전하지만, 개인 능력을 과시하려는 데서 경쟁사 공격 및 청부 공격(사이버 조폭), 정치적/문화적 목적으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또한 대량의 좀비 PC를 이용한 공격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발적으로 공격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도 주목할 점이다.

한편, 2010년 상반기의 악성코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악성코드 탐지 및 차단 건수는 약 6천570만 건에 달해 2009년 하반기 대비 144만 건(2.2%)이 증가했다. 이 중 유형 별로는 트로이목마가 43.3%로 가장 많고, 웜(11.7%)과 스파이웨어(10.4%)가 뒤를 이었다. 또한 2만227개 웹사이트에서 123만여 개의 악성코드가 발견돼 2009년 하반기 대비 각각 571개, 26만여 개가 증가해 웹사이트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상반기 악성코드 7가지로 요약

또한 안철수연구소는 2010년 상반기의 악성코드 7대 이슈로 ▲사회공학기법의 범용화 ▲가짜 백신 감염 기법 고도화 ▲진단/치료 회피 기법 지능화 ▲제로데이 취약점의 타깃 공격 악용 증가 ▲감염 경로/기법의 다중화 ▲SNS 기반 보안 위협 본격화 ▲스마트폰 보안 위협 첫 등장 등을 선정했다.

최근 악성코드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 보낸 흥미로운 내용으로 위장하는 사회공학기법이 범용화하는 추세다. 동계 올림픽과 남아공 월드컵 등 사회 이슈를 악용하거나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유명 회사나 서비스를 사칭해 경계심 없이 악성코드 관련 메시지를 열어보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모든 보안 위협의 기본이 됐다.

가짜 백신의 감염 기법의 경우 기존에는 다른 악성코드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 들어 직접 감염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특정 단어 검색 시 가짜 백신이 존재하는 웹페이지를 상단에 노출해 접속을 유도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정상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 하드 디스크의 언파티션드(Unpartitioned) 영역에서 동작해 진단/치료가 어려운 악성코드도 다수 등장했다. 또한 윈도 시스템 관련 파일을 패치하는 등 뚜렷한 증상이 보이지 않아 사용자가 감염 사실을 인식하기 어려운 악성코드도 등장하고 있다.

제로데이 취약점은 올 상반기에 5건 발생했다. 그 중 MS 인터넷 익스플로러 관련 취약점 2건이 타깃 공격에 악용됐다. 타깃 공격은 특정 대상을 공격하는 것으로, 공격자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공식 패치가 나오지 않아 탐지가 어려운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이다.

악성 웹사이트와 이메일의 결합, 피싱 사이트에서 악성코드까지 유포하는 등 다중적인 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트위터에서 단축 URL을 이용해 악성코드 유포 및 피싱 웹사이트로 유도하거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악성코드 조종을 위한 C&C 시스템으로 악용하는 사례도 발견됐다.

관련기사

윈도모바일에 감염되는 악성코드인 '트레드다이얼'의 실제 감염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 무단으로 국제전화를 발신해 비용을 발생시키는 증상으로 실제 피해는 없었으나 이후 유사 사례를 예고했다는 의미가 있다.

김홍선 안철수연구소 대표는 "7.7 DDoS 대란 1주년을 앞두고 전반적인 보안 대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어느 한 쪽만 잘해서는 되지 않고 정부기관, 기업, 개인이 같이 이루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