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SW불법복제, 세계 평균 이하

일반입력 :2010/05/11 11:10    수정: 2010/05/11 11:19

한국의 SW 불법복제율이 처음으로 세계 평균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BSA)은 11일 세계 111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2009년도 세계 SW 불법복제 현황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2009년 국내 SW불법복제율은 41%로 전년도 43%에서 2% 낮아졌다. 이는 31개 OECD회원국 가운데 22위를 기록한 것이다. OECD가입국 평균 SW불법복제율은 27%로 국내보다 14% 더 낮다.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 규모도 5억7천만달러(약 5천700억원)로, 6억2천만달러를 기록한 전년도 보다 줄었다.

아시아 지역 평균은 59%로 지난해보다 2% 줄었으나 피해규모는 165억달러로 늘었다.

불법복제율이 가장 낮은 미국은 20%, 그 다음이 일본 21%로 지난해와 같은 수치를 보였다.

관련기사

세계 평균치는 43%로 전년대비 2% 늘었다. BSA는 브릭스(BRICs) 등 불법복제율이 높은 SW 신흥시장 PC보급률이 늘어난 것이 주 원인이 돼 세계 평균 불법복제율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변진석 BSA 의장은 국내 SW 불법복제율을 10%만 줄여도 일자리 2만개를 창출하고 GDP를 3조원 늘리는 효과가 있다며 OECD 평균 이하로 진입하려면 정부 주도 차원에서 불법복제 개선 활동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