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쓰는 로봇 우주비행사

나사-GM, 로봇 우주비행사 공개…로보노트2, 또는 R2로 불리는 로봇

일반입력 :2010/02/05 08:15    수정: 2010/02/05 15:27

이재구 기자

오바마 미대통령이 지난 1일 2011년 미연방예산과 관련, 나사의 업무를 민간주도의 상용우주계획으로 바꾼다는 계획을 내놓은 가운데 나사와 GM이 로봇 우주비행사를 소개했다.

9kg의 덤벨을 쥐고, 손가락을 사람처럼 자유자재로 구부리는 것은 물론, 초보수준이긴 하나 연필로 글씨도 쓸 수 있다. 이 로봇은 우주비행사 로봇으로서 오바마가 부시대통령 때 계획인 2020년 달착륙계획 취소와 함께 서서히 민간우주항공산업의 부상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특히 관심을 끈다.

물론 직접 우주선을 조종할 지능을 갖춘 그런 로봇은 아니다. 하지만 손동작만은 놀랍다. 또 공기가 없는 우주의 무중력상태에서 사용되는 로봇이라는 점에서 무게로부터도 자유롭다. 나사와 GM이 R2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3년 전부터다. 하지만 이 로봇우주비행사 제작기술은 10년 전부터 준비되어 온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우주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사실상 나사의 손을 묶어 놓은 오바마 정부에서 나사와 GM의 로봇우주비행사는 충분히 눈길을 끌 만 하다.

특히 이 우주로봇 R2에서 눈여겨 볼 점은 세계최고의 로봇 손과 로봇팔 기술제작 기술을 가졌다는 독일의 기술을 뺨치는 정교한 손가락 동작인데 아래의 스틸 사진과 동영상으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로보노트는 날로 향상되는 기술발전을 지원을 받게되면 간단한 우주선의 조작을 돕는 것은 물론 이미 시작된 우주선 수리에서 우주유영의 안전 보조원 역할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로봇 우주비행사의 등장 이것이 자동차 조립라인의 새로운 얼굴? 로보노트2( Robonaut 2)

미항공우주국(NASA나사)과 자동차회사 GM이 함께 만든 이 로보노트2는 휴스턴에 소재한 오셔니어링스페이스시스템의 엔지니어들과 함께 만든 것이다. 나사와 GM은 자동차산업과 우주항공비즈니스에 알맞은 새로운 휴머노이드를 기대하고 있다.

■로보노트2, 또는 R2로 불리는 로봇이 로봇은 나사의 십년된 로봇우주비행사 기술의 성과물로서 특별히 우주여행을 위해 만들어졌다. 나사의 협력파트너는 미국방기술기획국(DARPA)이다. R2가 많은 분야에서 더 빠르고 기술적으로 앞서 있지만 특히 뛰어난 것은 로봇 손에 관련된 기술이다. 나사는 R2의 손이 이전 휴머노이드 기술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한다.

■인간과 똑같은 도구 사용 능력R2기계는 인간이 사용하는 것과 똑같은 도구를 사용하도록 설계됐다. 나사와 GM은 이 앞선 손동작은 로봇이 인간우주비행사 및 기술자들과 안전하게 일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앨런 토브 GM글로벌연구개발담당부사장은 GM으로서는 이것은 보다 안전한 자동차이며 보다 안전한 조립공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래의 차량에 대해서는 제어,센서,비전기술의 발전이 첨단차량안전시스템에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비전은 보다 안전하고 경쟁력있는 환경에서 사람과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더좋고 높은 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기위해 함께 일할 첨단 로봇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악력을 테스트해 볼까?R2는 다른 양손 사용로봇의 4배에 해당하는 약 9kg의 아령을 들수 있다고 나사는 말했다.

■덤벨도 가볍게 '번쩍'덤벨을 들어올리는 것도 끄떡없다.

로보노트2는 나사와 GM이 함께 만들어낸 최초의 합작품이 아니다. 이들은 40년전 아폴로 프로그램에서 항법시스템과 월면차 개발을 하면서 함께 일했다.

■인간과 나란히... R2가 휴스턴 소재 존슨우주센터에서 GM프로젝트 엔지니어와 함께 있다.

■세그웨이 기반의 이동성

2003년 12월 나온 이 로보노트B는 원래 가지고 있던 로봇기술을 업데이트한 것으로 세그웨이 기반기술을 사용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

■로봇이 손가락을 사람처럼 자유자재로..

로봇R2는 기존에 나온 그 어느 휴머노이드 로봇의 손가락 손놀림보다도 빼어난 기술을 자랑한다.

아마도 이부문에서는 세계최고를 자랑하는 독일에 앞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정교한 손놀림을 자랑한다. 아래 동영상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