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드플래시 이미 '20나노의 전쟁'

도시바, 내년 하반 양산 예고

일반입력 :2009/09/22 17:20

이재구 기자

30나노급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한 게 언젠데 벌써?

세계 반도체업계가 사실상 20나노급 낸드플래시 공정확보를 위한 무한 기술경쟁에 돌입했다.

지난 5월 삼성전자의 30나노급 반도체 양산발표로 시작된 '30나노의 전쟁'이 채 매듭지어지기도 전에 도시바의 20나노급 낸드 양산계획이 흘러나왔다.

21일 대만의 디지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도시바는 제휴사인 미국 샌디스크에 20나노급 낸드플래시 기술을 이전, 내년 하반기에 미에현 요카이치공장에서 양산에 나선다. 

이는 지난 5월 삼성전자의 32나노 32Gb모비낸드 양산 시작, 7월 IM테크놀로지의 34나노공정 낸드 본격생산, 같은 달 도시바의 32나노디바이스 양산 발표에 잇따라 나온 것이다.

32나노 낸드플래시를 양산 중인 도시바는 요카이치 공장에서 총 생산 물량의 50% 이상을 이 공정으로 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장은 도시바와 샌디스크가 합작해 설립한 생산시설이다.

디지타임스는 소식통의 말을 빌어 도시바와 샌디스크가 20나노공정 도입과 함께 요카이치 공장에서  월 20만장이 넘는 웨이퍼를 생산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보도는 이미 올연말 20나노급 낸드플래시 생산목표를 밝힌 바 있는 인텔과 마이크론의 합작회사인 IM테크놀로지의 동정에도 주목했다.  

그러나 세계 낸드플래시메모리 1위인 삼성전자는 22일 “아직 20나노 낸드플래시 메모리 생산계획을 밝힐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올연말 32나노공정에서 낸드플래시메모리 양산을 준비 중인 하이닉스도 이날 “20나노 낸드플래시를 개발중이지만 아직 20나노 생산계획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반도체 업계가 이처럼 고집적화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것은 낸드플래시로 구성되는  SSD(Solid State Drive)를 통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대체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