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DMB "개통비 징수가 살 길"

일반입력 :2009/07/27 18:04

이설영 기자

수익모델 부재로 어려움에 빠진 지상파DMB 업계의 생존을 위해 '개통비' 도입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

수도권 6개 사업자 중심으로 구성된 지상파DMB특별위원회는 지상파DMB 수익모델이 부재한 상황에서 개통비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액수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나 지상파DMB특위 측은 1만원 선이면 적정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1만원 선의 개통비를 걷을 경우 휴대폰 평균 교체수명인 2년을 대입하면, 매달 약 400원 정도를 내게 될 것으로 보인다.

U1미디어 이희주 부장은 "서비스 시작 당시 무료 서비스를 결정했던 것도 우리의 선택이었고, 당시 오판을 인정한다"며 "적자를 거듭하는 현 상황에서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익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했으며, 이윤추구가 아닌 생존이 목적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지상파DMB는 개국 이후 4년 가까이 시간이 흘렀으나, 마땅한 수익모델이 없어 사업자들이 경영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사업자 당 매년 40~50억원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만약 1만원의 개통비를 징수한다면 사업자당 매년 30~40억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도 지상파DMB를 포함한 뉴미디어 업계와의 간담회에서 "지상파DMB 개통비와 관련해 8월까지 안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익모델 미흡... 개통비 징수가 대안?

방송통신위원회 조영훈 뉴미디어정책과장은 "지난 6월말부터 학계, 기술전문가, 정부 실무진 등 20여명으로 구성된 DMB정책연구반을 가동 중이다"면서 "개통비를 포함해 DMB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안을 만들겠다는 것이지, 개통비 징수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단말 판매대수 2천여 대를 훌쩍 넘은 상황에서도 유일한 수익모델인 광고가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초기에 개통비를 징수하는 것이 현재로선 유일한 대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학계에서도 지상파DMB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일종의 '수혈' 개념으로 개통비를 징수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서울산업대학교 최성진 교수는 "현 상황에서 사업성이 없다고 바로 퇴출시키는 것은 사회적인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면서 "다만 3년 정도 한시적으로 개통비를 걷는 것으로 하고, 전국적으로 정상 서비스를 위해 망에 얼마나 들여야 할 지, 3년간 얼마만큼 단말이 판매될 지 등을 조사한 뒤에 개통비 액수를 정하면 어떨까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개통비 징수가 결정된다 해도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일단은 어떤 방식으로 누가 걷느냐도 문제이고, 무료로 시작했던 서비스가 유료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반론들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