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대표 박재욱)가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인 원격주행 공공도로 실증을 위한 운영에 착수한다고 27일 밝혔다.
쏘카, 기아, KT, 에스유엠으로 구성된 원격주행 컨소시엄은 27일 제주 쏘카터미널에서 시승식을 개최하고 원격주행 실증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렸다. 이날 행사에는 배성호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총괄과장, 장혁 쏘카 전략유닛장, 박준현 쏘카 기술기획실장, 강주엽 기아 신사업기획실장 상무, 조중훈 KT 전략고객사업본부 팀장, 현영진 에스유엠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원격주행 기술의 안정성과 미래 사업성을 직접 점검했다.
원격주행은 차량 내 운전자 없이 외부 관제 센터에서 사람이 실시간 화면을 보며 조향, 제어 장치를 통해 차량을 운전하는 기술이다. 올해 4월 국토교통부의 규제 샌드박스를 승인 받고 이달부터 공공도로 실증에 착수했다.
시승식은 제주공항에서 제주 쏘카터미널로 향하는 원격주행 시승 체험으로 시작됐다. 주요 관계자들은 쏘카터미널 내 관제 플랫폼에서 송출하는 원격 제어를 받는 차량에 탑승한 채 쏘카터미널로 이동했다. 비상상황에 대비해 안전요원이 동승했지만, 핸들·기어 등 일체의 차량 제어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도착지인 쏘카터미널에서는 원격운전 시연이 진행됐다. 시연 프로그램에서는 쏘카터미널 내 마련된 관제 플랫폼에서 4G·5G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차량 화면을 기반으로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이번 실증에서 활용되는 차량에는 원격주행용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탑재된다.
이번 실증 프로젝트는 ▲제주공항↔쏘카터미널 ▲제주공항↔용두암 ▲이호테우↔도두 ▲표선 해비치 등 제주 지역 4개 공공도로 구간에서 진행된다. 안전을 위해 최고 속도는 50km/h로 제한되며, 연내 비공개 테스트를 거쳐 2026년 일반 탑승객으로 실증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쏘카, 3Q 영업익 68억원…5개 분기 연속 흑자2025.11.12
- "차량 내 금연"...쏘카, 흡연 근절 프로그램 도입2025.09.15
- "휴~ 주차 딱지 떼일 뻔”...휴가철 관광지 필수앱 ‘휘슬’ 뜬다2025.07.11
- 쏘카, 신차장기플랜 출시…12개월 이용시 위약금 X2025.04.15
실증 프로젝트의 테스트베드로 활용되는 제주 쏘카터미널은 이달 문을 연 쏘카의 대형 오프라인 거점이다. 제주공항 인근에 3층 규모의 본관동과 차량 정비·세차·주차 시설을 갖춘 별도 구역으로 구성됐다. 쏘카는 쏘카터미널 내 원격 관제 플랫폼을 마련하고, 주요 운행 구간에 쏘카터미널을 포함해 원격주행 실증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원격주행을 활용한 카셰어링 서비스의 활용도와 사업성을 검증한다는 목표다.
장혁 쏘카 전략유닛장은 "전국 5천여 개 쏘카존, 천만 회원 등 쏘카가 보유한 단단한 자산을 토대로 분야별 선도 플레이어들과 함께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협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 기관, 기업, 학계 등 다양한 파트너와 손잡고 카셰어링뿐 아니라 모든 이동의 영역에서 이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