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종사자, 전년比 4.6% 상승 ‘113만1천명’...청년 유입 증가

의료서비스 분야 29세 이하 60.3%(4천219개) 눈길

헬스케어입력 :2025/11/26 11:34

올해 3분기 기준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가 113만1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6% 증가한 가운데, 의료서비스와 화장품산업 등을 중심으로 청년들의 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5년 3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에 따르면, 해당 산업 종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증가하며 전체 제조업 종사자 감소와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도 4.8% 상승해 전체 서비스업 증가율(+2.0%)을 웃돌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3분기 국내 제약산업 종사자 수는 300인 이상 사업체를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제약산업 종사자 수 증감률은 ▲2024년 4분기 ‘4.0%’ 증가 ▲2025년 1분기 ‘3.7%’ 증가 ▲2분기 ‘3.3%’ 증가 ▲3분기 ‘2.4%’ 증가 등이다.

사진=김양균 기자

하지만 3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 수는 올해 기준 분기마다 9% 이상 줄고 있었다. 관련 종사자 수 증감률을 보면 ▲올해 1분기 ‘11.0%’ 감소 ▲2분기 ‘9.0%’ 감소 ▲3분기 ‘9.1%’ 감소 등이다.

또 의료기기산업 종사자도 300인 이상 사업체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관련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감률은 ▲1분기 ‘18.4%’ 증가 ▲2분기 ‘20.6%’ 증가 ▲3분기 ‘22.3%’ 증가 등이다. 다만 ‘안경과 안경렌즈’ 제조업 종사자는 11분기 연속 감소했고, ‘치과용 기기’ 제조업 종사자도 3분기 연속 줄었다.

이와함께 화장품산업은 지난해보다 7.3% 증가하며 7분기 연속 바이오헬스산업 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29세 이하 종사자 수가 6.7% 늘었다. 3분기 화장품산업 규모별 종사자 수 증감률은 ▲300인 이상 ‘10.6%’ 증가 ▲30인∼300인 미만 ‘+7.4%’ ▲30인 미만 ‘+2.0%’ 등이다.

아울러 의료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늘었다. 29세 이하 청년층 종사자 수가 2분기 연속 증가했다. 관련해 29세 이하 종사자 수 증감률은 ▲작년 4분기 ‘0.9%’ 감소 ▲올해 1분기 0.0% 감소 ▲올해 2분기 ‘1.6%’ 증가 ▲3분기 ‘1.0%’ 증가 등이다.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현황. (단위: 명, %, 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특히 전체 신규 일자리 7천1개에서 의료서비스업 29세 이하가 60.3%(4천219개)로, 청년층 유입이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 수출이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확대돼 산업 성장세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고용도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보인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K-컬처 확산으로 뷰티 관련 품목의 해외 수요가 높아지며 화장품산업의 인력수요 증가와 청년층을 포함한 고용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진흥원은 인력수요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확대해 산업의 성장 기반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