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젠트(대표 이형배)가 금융과 제조·물류 등 주요 산업에서 검증된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외산 연계솔루션을 대체하는 '윈백(Win-Back) 전략'을 본격화한다,
인젠트는 외산 연계 솔루션의 비용 증가와 기술지원 제약, 복잡한 운영 구조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국산 연계솔루션을 통한 '윈백 전략'을 확대하겠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외산 솔루션 유지보수 비용과 기술 의존도가 기업 부담으로 커지면서 인젠트의 연계 플랫폼이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모두 확보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표적인 금융권 전환 사례로는 국내 대형 카드사 A가 있다. 이 카드사는 외산 연계솔루션 기반 환경에서 복잡한 인터페이스 설정과 높은 운영 부담, 새로운 연계 요구에 대한 대응 한계를 겪고 있었다. 인젠트는 표준화된 연계 아키텍처를 도입하고 웹 기반 관리 콘솔을 적용해 운영 편의성을 높였다.
여기에 인터페이스 등록·수정·삭제를 자동화해 운영 효율을 높였고, 기존 대기 서버 중심 구조를 동시 이중화 구조로 전환했다. 부하분산과 자동 장애 전환·복구 기능을 적용해 처리 성능을 크게 끌어올리고 아마존 S3 및 표준화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기반 파일 연계를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연계 패턴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제조·물류 분야에서도 국산 연계솔루션 전환 수요는 빠르게 늘고 있다. 국내 대형 물류사 B는 급증하는 물동량과 다양한 외부 파트너 시스템 연계로 기존 시스템 확장이 한계에 이르렀다.
인젠트는 실시간 배송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연계 구조를 설계하고, 복잡하게 흩어져 있던 연계 체계를 표준화해 물류 현장의 연계 복잡도를 낮췄다. 또한 모니터링과 분산처리 기반 운영 구조를 적용해 장애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시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젠트 연계 플랫폼은 외산 솔루션과의 기능 비교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웹 콘솔 기반 통합 관리로 프로세스 설계, 데이터 매핑,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을 코드 작성 없이 지원하는 노코드(No Code) 환경을 제공한다.
SAP 등 상용 애플리케이션 어댑터를 활용해 내·외부 시스템을 빠르고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으며 MCP와 A2A 환경 지원을 강화해 메인프레임부터 개방형 시스템까지 다양한 인프라에서 기업의 시스템 통합과 인공지능(AI) 전환을 동시에 준비할 수 있도록 했다.
경량화·표준화 중심의 엔진 구조 역시 실제 구축 프로젝트에서 개발 기간 단축과 운영 비용 절감 등 실질적인 개선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 인젠트, 글로벌 ECM 재편 속 국산 '인젠트 ECM' 부각2025.11.13
- 인젠트, KISA 'SBOM 자동 검증 체계 구축'…공급망 보안 표준화2025.11.07
- 인젠트, 이형배 신임 대표 선임…AI·DB 사업 강화2025.10.01
- [영상] LLM 한계 극복하는 인젠트 RAGOps 플랫폼2025.09.09
인젠트는 앞으로도 산업별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전환 로드맵과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해 외산 솔루션에서 국산 연계 플랫폼으로의 전환 부담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기술 교체에 그치지 않고, 기업 비즈니스 구조와 운영 프로세스 전반을 고려한 단계별 전환 전략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통합 환경을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다.
이형배 인젠트 대표는 "외산 연계솔루션의 비용 증가와 기술 의존도 문제로 대체 솔루션을 찾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인젠트는 실제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고객의 전환 부담을 최소화하는 윈백 전략을 지속 강화하고, 안정적이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연계 환경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