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로봇 '두뇌' 주권 프로젝트 정부에 제안 추진"

타당성 검토 결과 2035년 휴머노이드 시장 245조 원 달할 것으로 예측

방송/통신입력 :2025/11/21 12:46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AI로봇 두뇌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프로젝트를 공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최종 확정되면,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신용희 ETRI ICT전략연구소 기술정책연구본부장은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2035년까지 10년간 약 90배 가까이 성장해 최대 1천730억 달러(약 24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이같이 말했다.

신 본부장은 21일 서울 엘타워에서 ETRI 주최로 열린 기술·정책토론회에서 AI 로봇 전략 프로젝트 발굴 및 투자 타당성 검토 결과를 공개했다.

ETRI가 최근 AI로봇 두뇌 개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사진은 대구서 열린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에서 에이로봇이 공개한 이족보행 휴머노이드.(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신 본부장은 "로봇에서 ‘지능’이 차지하는 가치 비중도 점차 증가해 오는 2035년에는 3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하며 "개발 기간이나 예산을 추정한 건 아니다. 여론을 타진한 뒤 정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 본부장이 제안한 3대 핵심 전략은 ▲유연 로봇지능 확보(메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생 협력형 생태계 구축(K-로봇지능 에코시스템) ▲소버린 로봇 데이터 구축·활용(로봇지능 데이터 플라이휠) 등이다.

관련기사

이어 진행한 패널토의에는 방승찬 ETRI 원장을 비롯한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한국AI·로봇산업협회, 국내 주요 로봇 기업, 학계 등 로봇·AI 분야를 대표하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방승찬 원장은 “미국과 중국이 국가적 역량을 쏟아붓는 지금이 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과 흩어져 있는 AI 기술력을 하나로 모아야 할 골든타임"이라며 "이번 토론회에서 수렴된 전문가 의견을 모아 AI로봇 분야 전략프로젝트에 반영, 정리한 뒤 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