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카드사에 우선 열어줘야"

신용카드학회 컨퍼런스 개최…김상봉 교수 발제자로 나서

금융입력 :2025/11/21 14:00

스테이블코인이 본격적으로 도입될 경우 지급·결제 생태계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기존 지급·결제 사업자인 카드사에 스테이블코인에 참여할 기회를 줘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한국신용카드학회가 연 컨퍼런스에서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통한 결제시장 경쟁력 제고' 발제를 맡은 한성대 김상봉 경제학과 교수는 이 같이 제언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구조를 설명하면서 "개인 및 기업 해외송금에서 수수료와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실물없이 디지털 자산과 연계된 스테이블코인 카드는 실시간 환율이 적용되고 신용 심사없이 보유 자산 한도 내서 결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사진=챗GPT 생성)

예를 들어 영국 상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한다면 파운드로 하는지 달러로 결제를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소비자가 보유한 스테이블코인으로 실시간 환율이 적용돼 결제가 이뤄진다. 수수료도 일반 신용카드의 해외 결제에 비해 저렴하다. 해외 결제 시 부과되는 수수료는 해외 결제·네트워크망·카드사 수수료로 세 가지인데다 환전 마진까지 붙는다. 하지만 스테이블코인 카드에서는 네트워크 수수료만 들기 때문이다.

정산 과정도 기존 카드사에서는 '고객→가맹점→매입사→카드 네트워크→발급사→다층 수수료'로 정산 과정까지 수 거래일이 걸리지만 스테이블코인 카드 결제는 발급사·네트워크 단계가 축소된다.

관련기사

김상봉 교수는 "미국·일본 은행 및 카드사는 스테이블코인 결제망과 연계·협업한 전략을 추진 중"이라며 "비자와 마스터카드는 레돗페이·립페이·스텔라페이 등과 연동해 가맹점 결제 지원을 확대 중"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김 교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지급 결제 측면에서 카드사가 먼저 참여할 기회를 주고, 카드망에 탑재할 필요가 있다"며 "변화한 지급 결제 경쟁구도에 대응한 제도 설계가 있어야 하며 먼저 비은행에게 인가를 해주고 외국인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카드망을 통해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