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정적 안전' 끝났다…지능형 제조선 새 규칙 찾아야"

티유브이슈드, 지능형 적응 안전체계 AS3 소개

디지털경제입력 :2025/11/18 16:17

"산업 환경은 기존의 정적 안전 체계가 따라잡을 수 없을 만큼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테저스 파스마쿠마르 티유브이슈드(TUV SUD) 로보틱스 리드는 18일 서울 역삼 GS타어에서 열린 '콜라보레이트 코리아 2025'에서 기존 안전 시스템의 시대적 한계를 이렇게 규정했다.

그는 산업혁명기부터 이어져 온 기존의 기계 안전을 '정적 안전'이라고 설명하며, 위험 분석과 안전 규정이 문서로 정의되고 연 1회 검토되는 방식이 오늘날 지능형 제조 환경과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당시 모델은 전문가가 만든 위험 평가 문서에 기반한 수동적 방식 안전 규율이자, 모든 상황에 하나의 규칙을 적용하는 시대였다는 것이다.

테저스 파스마쿠마르 티유브이슈드(TUV SUD) 로보틱스 리드가 18일 '콜라보레이트 코리아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그러나 제조업은 이미 고정된 셀·컨베이어 기반 생산에서 벗어나 자율주행로봇(AMR)·무인운반차(AGV), 협동로봇, 피지컬 AI가 공존하는 고유연성 환경으로 이동했다.

테저스 박사는 "대량생산에서 대량맞춤형 생산으로 전환됐다"며 "매일 재구성되는 생산라인·지능형 로봇·AI 기반 의사결정이 일상이 되면서 기존 정적 안전 체계가 더 이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티유브이슈드가 개발한 적응형 안전·보안 시스템 'AS3'을 소개했다. AS3는 기존 안전·보안 요구 사항을 문서가 아닌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전환해, 로봇·AMR·작업자·설비 각각의 안전 프로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정의하는 시스템이다.

테저스 박사는 이 체계가 위험 평가를 연 1회가 아니라 운영 중 매 순간 수행하는 구조로 확장된다고 강조했다.

AS3는 기계 동작·작업자 활동·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읽어내 안전 조건을 자동 검증하는데, 그는 이를 '디지털이고, 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사고방식'이라고 표현했다.

또한 AS3는 안전뿐 아니라 사이버보안과 회복탄력성을 함께 고려해 안전 개념 자체를 확장한다. 그는 "안전, 사이버보안, 회복탄력성은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며 "AI 시대에는 안전 역시 맥락 기반 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테저스 박사는 중국 화남이공대학교와의 협업 사례를 통해 AS3의 실제 작동 방식을 설명했다. AMR·드론·지능형 교통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운영되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AS3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해 안전 관련 결론을 도출했다.

그는 이 시스템이 "안전 전문가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 권고를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안전 엔지니어의 현장 분석을 기다리지 않고 즉각적으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생산성 측면 리스크도 실시간으로 드러낼 수 있다. AMR이 안전하게 감속·정지하더라도 작업자의 잦은 셋업 변경 때문에 누적된 생산 지연이 발생하면, AS3는 이를 '생산성 리스크'로 인식해 즉시 시각화한다.

관련기사

테저스 박사는 로봇이 독자적 판단을 내리는 에이전트형 AI 시대가 이미 열렸다고 강조했다.

향후 안전은 서버 중심이 아니라 로봇과 장비가 작동하는 현장(엣지)에서 즉시 결정되어야 하며, AS3는 로봇의 모든 의사결정이 안전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지능형 안전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