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프랜드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24억1천만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947억5천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8.9% 감소했다. 순손실은 97억8천만원으로 전년 43억7천만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3천4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5% 줄었다. 누적 영업이익은 52억 원으로 78.4% 줄었다.
바디프랜드 사업은 ▲헬스케어 ▲라클라우드 ▲정수기 등 3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3분기 누적 사업부문별 매출은 헬스케어 2천640억원(86.7%), 라클라우드 323억원(10.6%), 정수기 등 81억원(2.7%)으로 집계됐다.
바디프랜드는 홈쇼핑 방송, 직영 전시장, 온라인몰, 백화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채널별 전담 조직을 운영해 고객 접점을 넓히고 있다.
회사는 마사지체어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점유율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헬스케어 기능 고도화와 로보틱스 기술을 접목한 신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지난 3월 사지 독립 구동 구조를 구현한 헬스케어로봇 '에덴로보'를 출시해 전신 마사지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이어 6월에는 에스테틱 기능을 결합한 '퀀텀 뷰티캡슐'을 공개하며 두피·피부 관리 등 뷰티케어 영역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회사는 헬스케어로봇 기술을 기존 전 제품군으로 순차 확대 적용하고, 의료기기·마사지가구 등 외연 확장도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 바디프랜드, 두피케어 라인업 강화2025.11.11
- 바디프랜드, 뱅앤올룹슨 사운드 담았다2025.11.06
- [써보고서] "10분이면 두피가 숨 쉰다"…바디프랜드 미니 '두피올케어'2025.11.02
- 바디프랜드, 기업지식재산대상 지식재산처장상 수상2025.10.30
영업 전략 측면에서는 기존의 단순 전시·판매형 매장 운영에서 벗어나, 체험 기반의 직영 라운지 운영 모델을 도입했다. 사전 체험 예약 시스템, 로봇 카페 운영 등 체류형 콘텐츠를 강화해 브랜드 경험의 질을 높이고 있다.
또한 주요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단독 매장과 백화점 입점을 확대하고 있으며, '건강수명 충전소' 콘셉트의 팝업 행사도 탄력적으로 운영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