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코리아가 국내 전기차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전기차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고객층 확대에 나선 결과, 전동화 차량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BMW코리아는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총 9천454대의 전동화 차량을 판매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5.6%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의 배경에는 BMW코리아의 과감한 전동화 투자에 있다. BMW코리아는 구매부터 운행까지 전 과정에 걸쳐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채로운 전동화 라인업 구축은 물론 전기차 관련 시설 확충까지 다양한 부문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폭넓은 선택 기회를 제공하는 BMW그룹의 '파워 오브 초이스' 전략을 바탕으로 컴팩트 스포츠 액티비티 비히클(SAV) BMW iX1부터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BMW i7, BMW M 전용 초고성능 모델 BMW XM까지 총 13종, 24가지 파워트레인에 이르는 탄탄한 전동화 모델 라인업을 갖췄다.
BMW코리아는 충전 인프라 투자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2년 말부터 공공 개방형 프리미엄 전기차 충전소 'BMW 차징 스테이션'을 전국 주요 거점에 구축해 운영해왔다.
2023년에는 중장기 충전 인프라 확장 프로젝트인 '차징 넥스트'를 발표하고 현재까지 총 2천80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 완료했으며 올해 안에 총 3,000기까지 증설할 예정이다.
BMW 코리아는 충전 환경의 질적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BMW그룹 최초의 라운지형 충전 공간인 'BMW 차징 허브 라운지'를 서울역 부근에 개소해했다. 올해 연말에는 더욱 친환경적인 충전을 실현할 'ESG 차징 스테이션'도 선보일 계획이다.
인프라 투자와 함께 BMW 코리아는 전기차 시승 프로그램인 'BMW BEV 멤버십' 프로그램을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총 2천500여명의 고객이 참여해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운전의 즐거움'을 BMW 전기차를 통해 경험했다.
BMW코리아는 안전성 강화를 위해 커넥티드 기술을 통한 선제적 차량 관리 서비스인 'BMW 프로액티브 케어'를 운영 중이다.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경우 충전 시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과충전이나 과열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 국내 자동차 수입사 중 유일하게 전기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신고 시범사업에도 참여하는 중이다. 전기차 화재 의심 상황에 대한 정확한 감지 및 신속한 신고 체계를 구축하는 시범사업으로, 전기차 화재에 대한 골든타임 확보와 화재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관련기사
- 럭셔리 SUV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전동화 시대 연다2025.11.12
- 테슬라코리아 "韓서 완전자율주행 감독형 서비스 곧 출시"2025.11.12
- 한국타이어, '겨울 김장 대봉사' 참여…15년째 여정 동참2025.11.12
- 지성원 현대차 전무,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대통령상 표창'2025.11.12
AS 서비스 시스템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BMW 전동화 모델은 현재 총 80 곳의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전동화 모델의 정비와 소모품 교환 등이 가능하며, 고전압 배터리나 사고 수리 등 고난도 정비도 42곳의 서비스센터에서 지원한다. 전기차 전문 인력도 업계 최다 수준인 480명을 보유 중이다.
한편 BMW는 지난 9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첫 번째 노이어 클라쎄 모델인 BMW 뉴 iX3를 공개했다. 뉴 iX3는 첫 공개로부터 6주가 채 되기도 전에 독일에서 사전예약 대수 3천대를 돌파하며 흥행을 예고한 바 있다. 2026년 내 국내 출시도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