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조업 현장은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는 각국뿐 아니라 한국 기업의 생존 방향까지 바꾸고 있습니다."
유영찬 디엠지모리코리아 사장은 12일 경기 안양시 디엠지모리코리아 테크센터에서 열린 '오픈하우스 2025' 기자간담회에서 "작년부터 이어진 글로벌 제조 환경의 불확실성이 올해까지도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유 사장은 주요 국가별 시장 상황을 구체적으로 짚었다. 그는 "세계 공작기계 시장은 중국과 미국, 인도, 독일, 이탈리아가 주도하고 있다"며 "한국의 실제 소비 시장은 탑6가 될 수준이 아니며, 오히려 인도 시장이 뜨겁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은 전체적으로 경기가 좋지만 사람 구하기가 어렵고 인건비가 크게 올라 미국에 진출한 기업들이 고전하고 있다"며 "대신 자동화를 함께 들고 가는 추세지만, 현지에서 그걸 지원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역량이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정부의 제조업 투자와 지원이 워낙 강력해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 사장은 한국 제조업이 겪는 구조적 한계에 대해서도 솔직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한국은 기계가 100의 능력을 갖고 있어도 60~70 정도만 쓰는 경우가 많다"며 "미국에서는 기계를 죽을 때까지 한계까지 밀어붙인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경쟁력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디엠지모리가 운영하는 테크니움 엔지니어링 지원 조직과 협업해, 절삭 조건과 냉각·칩 처리까지 포함한 '풀 퍼포먼스' 가공 조건을 고객과 함께 맞춰가고 있다"며 "기계의 활용 효율을 높이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변수에 대해서는 "유럽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기료가 서너 배 올랐다"며 "생산비가 급등하고 있고 원·유로 환율까지 올라 수익성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제조업 회복의 핵심 변수인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관련기사
- 디엠지모리, NLX 2500·1250 2세대 선봬2025.11.12
- 한화로보틱스, 위아공작기계와 협동로봇 자동화 맞손2025.09.15
- "車 전동화 영향이요? 공작기계도 따라가야죠"2024.11.05
- "공작기계 디지털화로 새 산업 지평 열린다"2024.04.30
유 사장은 "반도체 쪽은 예전처럼 쉬운 수주는 아니다"라며 "말레이시아·베트남 등 글로벌 공급망과 경쟁을 해야 한다. 예전에는 한국과 대만이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국제적인 분업 체계가 확립됐다"고 전했다.
유 사장은 "올해까지 공작기계 시장이 어려울 것으로 보지만 방향성은 분명하다"며 "자동화·디지털화·그린 제조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